서울역~용산역 경부선 지상철도 전경. /용산구

수도권 지상 철도 지하화 추진 근거가 되는 ‘철도 지하화 및 철도 부지 통합 개발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 지난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특별법이 통과되면서 철도 지상 노선이 지나는 서울시 자치구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경부선·경원선 철도 지하화를 추진해왔던 용산구는 발빠르게 향후 개발 계획 수립에 나섰다. 용산구는 경부선 철도가 지역 전체를 남북으로 갈라놓으면서 국제업무지구 조성 등 각종 개발사업과 도시 재정비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구는 철도 지하화가 이뤄질 경우 용산·남영·서울역 일대 4.5km 구간을 국제업무 지원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용도로 활용할 방침이다. 경원선 용산·이촌·서빙고역 일대 3.5㎞ 구간에는 한강 접근성을 확대하고 단절된 생태계를 회복시킬 공원을 조성한다.

대방역에서 신도림역까지 3.4km의 경부선 철도가 지나는 영등포구도 특별법 통과에 따라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이미 인근 부지 개발사업 청사진 조성을 위해 올해 예산에 용역비 3억5000만원을 편성했다. 영등포구는 철도를 걷어낸 공간과 그 주변부를 개발해 ▲젊은이들을 위한 창업 공간 ▲4차 산업 관련 첨단 일자리 유치 ▲문화도시 위상에 걸맞은 문화·휴식 공간 ▲도심 속 대규모 녹지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계획이다.

구로구(구청장 문헌일)에는 구로역부터 온수역까지 5.6km, 신도림역부터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2.2km 구간의 지상철도로 지역이 단절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는 ‘2050 구로도시발전 계획’과 연계해 지상철도 부지 활용 방안을 세우고 있다. 특히 숙원 사업인 구로차량기지 이전이 완료되면 남는 부지를 경부선, 경인선 지상 공간과 함께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 서대문구(구청장 이성헌)는 2024년 최우선 사업으로 경의선 지하화와 상부공간(철도를 걷어낸 공간) 입체복합개발을 꼽고 있다. 경의선 철도 지하화로 생기는 16만5000㎡(약 5만평) 부지에 연구단지와 호텔이 밀집한 ‘신 대학로’를 조성한다는 게 골자다. 도봉구(구청장 오언석)도 녹천역에서 도봉산역으로 이어지는 약 6km 구간 지상철도 지하화에 속도를 낸다고 최근 밝혔다.

자치구들이 앞다퉈 철도 지하화 대응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철도 지하화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관해 서울시는 지상지역을 개발하며 발생하는 이익을 사업 재원으로 활용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