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 ‘Great Place To Work Institute(이하 GPTW)’가 주관하고 ‘Great Place To Work® 코리아(대표 지방근)’가 주최하는 ‘2024년 제22회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결과가 발표됐다. ‘2024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에는 1위를 차지한 시스코 등 총 100개 사가 선정됐다.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제도는 ‘포천(Fortune) US 100대 기업 선정’ ‘유럽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선정’ 등 일본·브라질을 비롯한 전 세계 170여 개 국가에서 동일 방식으로 평가·선정하는 국제 표준(글로벌 스탠다드) 평가제도이다. 미국 본사인 GPTW는 1998년부터 글로벌 경제 종합지 ‘포천(Fortune)’에 매년 ‘포천 US 100대 기업’을 발표하고 있다. 회원국인 한국은 2002년부터 올해로 22년째를 맞았다.

‘일하기 좋은 기업’ 평가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정밀하고 공정하게 진행된다. 제1차 신뢰경영지수(Trust Index™) 진단은 국제 표준(글로벌 스탠다드)이다. ‘일하기 좋은 기업’ 평가는 170여 국가, 92개 언어로 분류돼 실시된다.

세부 평가 내용은 ▲믿음 ▲존중 ▲공정성 ▲자부심 ▲동료애 등 5대 범주로 구성된다. 커뮤니케이션·사업추진역량·윤리경영·지원·참여·보살핌·공정함·공평함·정당함·개인자부심·팀자부심·회사자부심·친밀감·호의·공동체의식 등 15개 요소와 62개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제2차 문화 평가(Culture Audit™)는 7개 평가 항목으로 나뉘어 졌다. ▲일하기 좋은 일터 신뢰 ▲구성원 최고의 잠재력 ▲핵심 가치 ▲구성원 참여 ▲효율성 ▲리더십 행동 ▲혁신 활동 성과에 대해 평가한다. 평가점수는 제1차 신뢰경영지수가 75%, 제2차 문화 평가가 25% 반영된다.

◇1위 시스코, 포용적인 환경 조성으로 높은 평가

1위에 오른 시스코는 ‘의식 문화(Conscious Culture) 기반으로 직원들이 최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포용적인 환경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2위에 선정된 한국전력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수평적인 조직문화’이다. ▲직급·세대 간 장벽을 허물고 활발한 소통을 위해 신입·초급사원들 생각까지 경영활동에 반영한 ‘경영笑위원회’ ▲부서·직종 간 차이를 이해하고 협업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크로스 미팅’ 등이 큰 성과를 냈다.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는 워라벨 문화 정착을 위한 유연근무제가 돋보였다. 월 4회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매주 금요일은 오후 4시 퇴근을 장려하는 ‘Family day’로 지정해 임직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임산부와 수유부를 위한 특별 사내 휴게실이 갖춰졌으며, 임신기·육아기 단축 근무 및 육아 휴직 사용을 장려해 ‘대한민국 부모가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에도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켈라노바 코리아는 ‘유연근무·재택근무·오피스근무’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Locate for Your Day’로 호평받았다. 더불어 임직원들 신체적·정서적·사회적·재정적 영역의 건강을 지원하는 ‘나의 토탈 헬스 프로그램’, 한 달에 한 번 지정된 금요일 오후 1시에 퇴근할 수 있는 ‘Total Health Day’ 등도 시선을 끌었다. 이를 통해 ‘글로벌 ESG 인권경영 인증’도 획득했다.

갈더마코리아는 임직원의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는 유연근무제를 적극 시행하고 있다. 전 직원의 약 60%가량인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 특성에 맞는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해 업무 효율성과 집중도가 크게 상승했다.

애터미는 '영혼을 소중히 여긴다'는 사훈 아래 임직원에게 자유롭고 진취적인 업무환경을 제공한다. /애터미 제공

한편 글로벌 네트워크 마케팅 전문 기업인 애터미 박한길 회장이 4년 연속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로 선정됐다. 박 회장은 ‘젖소철학-아기철학’을 통해 “사람은 수단이 아닌 목적 그 자체”라고 설명했다. 젖소를 잘 돌보는 것은 더 많이 착유하기 위한 수단인 데 반해, 엄마가 아기를 잘 돌보는 것은 아기로부터 무엇인가 얻어내기 위한 수단적 행동이 아니라 아기 그 자체가 목적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박 회장은 ‘애터미 임직원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해야 할 존재’라는 핵심 가치를 경영에 반영해 주목받고 있다.

◇세계 170여 개 국가 및 산업별 비교·분석부터 벤치마킹까지 가능

세계 지역별 ‘일하기 좋은 기업’ 평가점수를 살펴보면 ▲포천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의 신뢰경영지수는 ‘87′이며 ▲유럽연합(EU) ‘89′ ▲라틴 아메리카 ‘90′ ▲일본 ‘80′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기업 신뢰경영지수는 ‘76′으로 이보다 낮았다. 한국은 공정성과 동료애 지수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됐다. 구성원들이 상사 및 경영진에 대한 ‘공정한 기회와 공평한 보상’ 기대가 낮고, 동료에 대한 친밀감과 공동체 의식도 부족하다는 경고신호다.

윤동열(대한경영학회 회장·건국대 경영학과 교수) 심사위원장은 “한국을 포함해 포천·유럽 등에서 선정된 기업은 일반기업과 비교해 이직률·생산성·수익률·고객만족도 등 여러 경영지표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최근에는 특히 고용 브랜드에서 결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고 강조했다.

Great Place To WorkⓇ 선정위원회의 서여정 경영평가 본부장은 “평가를 통해 매년 구성원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신뢰경영 지수를 평가·관리할 수 있다”라며 “더욱 주목할 점은 세계 170여 개 국가 및 산업별 비교·분석부터 벤치마킹까지 가능하며, 성별·연령별·직급별 등 인구 통계적으로도 비교·분석해 좋은 일터 만들기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하기 좋은 기업’ 평가는 개별 회사의 구성원들이 직원 경험(Employee Experience)을 토대로 자신이 일하고 있는 일터를 직접 점수 매기는 세계 유일의 제도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객관성과 공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일하기 좋은 기업’은 ’고용 브랜드’ 향상으로 재직자의 직원 유지율이 50%높고 구직자 선택이 일반기업보다 무려 15배 높다. 출처: GPTW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