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이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고 그 지역에서 살 수 있도록 교육체제를 획기적으로 바꾸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은 22개 모든 시·군이 교육부가 추진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선정되도록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22일 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지역으로 전남에서는 7개 시·군을 지정받았다. 나주는 에너지중심 혁신도시형, 영암·강진은 미래 농업생명산업형, 목포·무안·신안은 해양관광융복합형, 광양은 K-첨단산업연계형으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모델들을 인정받았다. 나주는 한전 본사가 위치한 혁신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에너지산업과 관련한 인재양성을 추구한다. 영암·강진은 조선소와 관련 산업이 조성되어 있고 농업을 배경으로 하는 특성을 살리려 한다. 목포·무안·신안은 해양의 특성을 살리는 해상풍력에너지와 항공·관광을 특화한다. 광양은 제철소가 있는 만큼 신소재 철강과 이차전지 산업을 인재 양성 교육과 연결하겠다는 전략이다. 각 지역의 중·고교와 대학의 인재양성이 지역산업에 부응케 하려는 것이다. 각 지역에 소재한 동신대, 동아보건대, 목포가톨릭대, 목포과학대, 목포대, 목포해양대, 세한대, 순천대, 초당대, 한국에너지공대, 한국폴리텍대학 전남캠퍼스가 각각 참여하고 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 인재가 지역에서 좋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정주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대학, 산업체 등 지역기관과 협력해 주민들이 원하는 교육발전 전략을 자율적으로 마련하는 사업이다. 비수도권 지역이 다양한 혁신모델을 제시해 신청하면, 교육부가 평가하여 특구로 지정한다. 특구로 지정된 지역은 재정 지원과 함께 특구 운영에 필요한 규제 완화 등 다양한 특례를 받게 된다. 시범운영기간은 3년이다. 시·군별로 30억~100억원 규모를 받는다. 구체적인 운영은 아이를 낳아 잘 기를 수 있는 지역공동체 돌봄, 지역단위 공동·연계교육, 산학 연계인력 양성 등 4가지로 나눠 추진하겠다고 전남도는 말했다.
이와 관련,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역 불균형과 인구소멸의 고리를 끊어내고 전남의 미래를 바꿀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유아부터 대학까지, 진학부터 취업·정주까지 전반을 아우르는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미래 지향적 교육을 통해 전남의 작은 학교들을 기회의 모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앞으로 2차 공모를 진행한다. 신청기간은 오는 6월 30일까지다. 특구 지정을 원하는 지역은 지자체장과 교육감 등이 공동으로 체결한 ‘교육발전특구 협약’과 지역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발전특구 운영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해야 한다. 2차 선정 결과는 7월말 발표된다. 전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은 2차까지 신청, 22개 전 시·군이 지정되도록 할 계획이다.
강영구 도 자치행정국장은 “지방소멸시대에 교육의 힘으로 지방을 바꾸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이 시급하다”며 “1차 공모에서 나타난 개선점을 보완해 모든 시·군이 지정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차 공모에서는 전남도는 도교육청, 시·군과 협력해 공교육 혁신을 바탕으로 시·군 공동모델 발굴할 예정이다. 지역 전략산업과 일자리 정책을 접목한 초·중·고·대학·기업 연계 맞춤형 인재 양성 등 전남형 모델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이주배경자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이주배경자 통합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다. 전남의 이주배경 인구(귀화자, 이민자 2세, 외국인)는 5만5131명, 이주배경 학생은 1만347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