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에너지 절약과 효율적인 기기 사용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한국전력(한전)은 냉·난방비 부담이 큰 취약계층과 소상공인 대상으로 다양한 에너지 효율 향상 지원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에너지 비용 절감을 돕고, 고효율 기기 교체 지원 사업도 대폭 확대하고 있다.
◇고효율 설비 교체 시 기기가격의 10~20% 지원
한전은 고효율 기기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고효율 설비로 교체한 고객에게 기기 가격의 10~20%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력 소모가 적은 LED(발광다이오드) 조명 58만 개 △고효율 인버터(전력변환장치) 6500개 △고효율 가전제품 13만 개를 보급했다.
특히 소상공인과 뿌리기업 등 에너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고효율 가전제품 구입비 일부 지원과 고효율 기기 교체 지원금을 상향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약 10만 고객에게 총 890억원을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약 502GWh(기가와트시)의 에너지를 절감했다. 이는 4인 가구 월 평균 전력 사용량(332kWh) 기준으로 약 12만6000가구의 연간 전력 소비량에 해당한다.
올해부터는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비율을 높여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대표적인 제도 중 하나는 ‘복지할인가구 고효율 가전 구매 지원’ 사업이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할인가구를 대상으로 전력기금 125억원을 편성해 기존 10~20% 수준이던 지원 비율을 15~30%로 확대했다. 대상 품목은 TV·에어컨·냉장고·세탁기 등 총 11개 품목이다.
◇소상공인들 많이 사용하는 4개 품목 구매 비용 40% 지원
‘소상공인 고효율 기기 구매 지원’도 이어진다. 전력기금 379억원을 투입해 소상공인이 많이 사용하는 냉난방기·세탁기·건조기·냉장고 등 4개 품목의 구매 비용 중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의 40%를 지원한다. 또한 ‘고효율 기기 상향 지원’ 제도를 통해 뿌리기업과 소상공인 등이 많이 사용하는 고효율 기기에 대해서는 일반 소비자보다 1.5배 높은 지원금을 제공한다.
‘식품매장 개방형 냉장고(쇼케이스) 문 달기 지원’ 사업도 주목할 만하다. 냉기 손실과 냉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총 60억원의 예산을 배정해, 개방형 냉장고를 도어형으로 교체하거나 신규 설치할 경우 냉장고 문 면적 1㎡당 최대 34만9000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자발적인 전력 절감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는 2023년 하반기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전기사용량을 줄이면 다음 달 전기요금이 할인되는 방식으로 현재 123만 가구가 참여하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올해는 더 많은 국민이 에너지 효율 향상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 대상과 지원 비율을 모두 확대했다”며 “고효율·저소비 중심의 에너지 구조 전환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전의 에너지 효율 향상 지원제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신청 방법은 한전 홈페이지(home.kepco.co.kr)의 ‘한전ON’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