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업은 단순한 먹거리 제공을 넘어 국민 건강과 삶의 질까지 높이는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농업·농촌 자원으로 건강 회복·유지·증진을 도모하는 ‘치유농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농진청)은 치유농업을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하기 위해 ‘국민과 함께하는 치유농업’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는 수요자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서비스와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농진청은 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우리 농업·농촌의 새로운 소득원 창출도 기대하고 있다.
◇46종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
농진청은 2022년 제1차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식물·동물·자연경관 등 농촌 자원을 활용한 총 46종의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교육부 주관 범부처 협력사업인 ‘늘봄학교’ 53개 학급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했다. ‘늘봄학교’는 정규 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 자원을 연계해 제공하는 종합교육 프로그램으로 기존 초등학교의 ‘방과 후’ ‘돌봄’을 통합한 개념이다. 현장 반응에 힘입어 올해는 315개 학급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앞으로 농진청은 기존 단일 프로그램을 2개 이상 결합한 융복합 프로그램도 제공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마을길 소리치유 산책’과 ‘향기 식물 텃밭 정원 가꾸기’를 결합해 ‘자연 속 쉼’이라는 통합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다. 오는 7월에는 전북 김제시의 꽃다비팜에서 ‘나를 찾는 농촌여행’ 융복합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꽃다비팜 치유농장 대표는 “현재는 원예 자원만 활용한 단일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농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이 동물 체험이나 마을 산책에도 관심을 보이는 만큼 융복합 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사회서비스 연계형 프로그램을 아동·청소년으로 확대
보건복지부·교육부 등과 협력도 강화해 치유농업 프로그램 확대에 속도를 낸다. 그동안 노인·장애인 중심이었던 사회서비스 연계형 프로그램을 아동·청소년 대상으로까지 확대하기 위해 전국 10개 시범농장에 보급할 계획이다. 치유농업의 신속한 확산을 위해 현재 13곳에서 운영 중인 광역단위 치유농업센터를 2027년까지 17곳으로 확대한다. 이 센터는 광역단위 치유농업 기반으로 △치유농업 경영체 교육 △수요·공급 매칭 지원 △지역 특화 프로그램 개발·운영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우수 치유농업 시설 인증제’로 서비스 품질을 관리하고 인증제를 조기 정착시키기 위해 심사 매뉴얼 개발과 인력 양성에도 나설 예정이다. 농진청은 치유농업을 다른 분야와 연계해 더욱 확장하기 위해 부처 및 민간 전문가와 협업에도 나서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산림청 등과 ‘치유정책협의체’를 운영해 부처 간 치유농업 정책의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농진청과 국민이 함께하는 치유농업 프로젝트의 성공이 우리 농업과 농촌에 새로운 미래를 열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