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최근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끼쳐 논란이 된 축구장의 잔디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함께 K리그 경기가 열리는 축구장 총 27곳의 잔디 상태를 전수 조사한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문체부와 프로축구연맹은 프로축구연맹 내에 잔디관리 전담 부서를 특별히 신설해 일본 등 선진사례 조사에 착수했다.

4월부터 K리그 경기장을 조사해 상반기 중 잔디 상태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경기장별 맞춤형 개선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특히 경기장의 특성과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해 ▲노후화된 잔디 교체와 인조 잔디 품질 개선 ▲열선 및 배수시설 관리 등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장기적인 잔디 유지·관리 지침 마련과 현장 점검 강화 등을 제안할 계획이다.

또한 문체부는 올해부터 공공체육시설 개·보수 지원 공모사업을 통해 지자체와 함께 축구장 잔디 교체 등 경기장 개선을 적극 지원하고, 추후 전수조사 대상 경기장을 확대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경기장의 잔디 상태는 선수들의 경기력뿐만 아니라 부상 방지, 팬들의 관람 만족도 등 경기의 전체적인 품질과도 직결된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경기장의 잔디 상태를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 연맹과 구단, 경기장 운영 주체 등과의 협력 및 소통을 강화해 지속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축구장 잔디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3월 홈에서 열린 A매치 2연전도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 상태가 악화해 고양종합운동장(오만)과 수원월드컵경기장(요르단)에서 열렸다.

하지만 이마저도 선수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손흥민은 지난 25일 요르단전이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이런 말을 또 해서 그렇지만, 홈 경기인 만큼 좋은 컨디션과 환경에서 해야 하는데, 그러질 못하고 개선이 안 되는 게 속상하다”며 “모든 분이 신경 써 줬으면 한다. 더 잘할 수 있는데도 홈에서 우리의 발목을 잡으면, 어디서 이점을 누려야 할지 모르겠다”며 잔디 개선을 촉구했다.

이어 “축구 선수들이 좋은 환경에서 플레이하지 못하는 게 속상하다. 바뀔 거로 생각하지만 바뀌지 않는다”며 “어느 나라든 춥고 덥다. 그런데 다른 나라는 잔디가 잘 돼 있고, 우리는 그렇지 않다.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nan90@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