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도쿄패럴림픽 남자 50m 소총3자세에서 동메달을 딴 심영집(48·강릉시청)은 “9년 만에 나온 패럴림픽에서 메달을 따 더 기쁘다”고 했다.
심영집은 이날 일본 사이타마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린 2020 도쿄 패럴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3자세(SH1·척수 및 기타장애) 결선에서 총점 442.2점으로 3위를 기록, 동메달을 획득했다.
결선 첫 5발에서 50.4점으로 박진호와 공동 4위를 기록한 심영집은 10번째 총알을 쏜 뒤 102.2점으로 잠시 2위로 올라섰다. 이후로는 5∼6위를 오가며 중하위권을 지켰으나, 36∼40번째 발사에서 49.5점을 더해 돌연 3위로 도약했고 끝까지 순위를 지켰다.
심영집은 1998년 운전 중 낭떠러지에서 추락하는 사고로 인해 척수장애를 갖게 됐다. 이후 2003년 탁구 선수로 활동하던 중 강릉시청의 강주영 감독 권유로 총을 들었고, 국가대표가 됐다. 이번 도쿄 대회는 2012 런던 이후 9년 만의 도전이었다. 당시 이 종목에서 아쉽게 4위에 그쳤으나, 이번에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자신의 첫 패럴림픽 메달을 거머쥐었다.
심영집은 경기 후 “9년 전 런던 패럴림픽에서 처음 출전해 4위를 했는데 동메달을 따 기쁘다”며 “런던 때 메달을 딸 수 있었지만, 막판에 한발을 남기고 실수를 범해 그러지 못했다. 그때보다 긴장도 덜하고 멘탈도 강해졌다. ‘욕심부리지 말고 훈련한 만큼만 하자’는 마음으로 임했다. 9년 만에 나온 대회서 메달을 따 기쁨도 더 크다”고 했다. 그는 또 “복사까지는 어렵게 갔는데 입사는 욕심부리지 말고 한발 한발 집중하려고 했다.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이날 주성철, 박진호와 함께 결선에 올랐다. 심영집은 “예선 때 모두 잘했다. 경기장 들어가기 전 다 함께 파이팅을 외치고 게임에 들어갔다”고 했다.
심영집에게 사격은 어떤 의미일까. 그는 “이젠 나의 인생이 됐고 가장 좋아하는 것이다. 앞으로도 오랫동안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몸 관리 잘 하겠다”고 했다. 그는 가장 고마운 존재로 부모님을 꼽으며 “지금도 기도하고 응원해주신다. 메달로 보답한 것 같아 기쁘다”고 했다. 심영집은 오는 5일 혼성 50m 소총 복사 경기에 나선다.
한편 예선에서 패럴림픽 신기록을 세우고 최종 6위로 경기를 마친 주성철은 “잘하다가 다리에 강직이 와서 7점대를 쏘고 하위권으로 떨어졌다. 아쉽다. 다리가 떨리고 움직이면 쏘는 순간에 (총알이) 엉뚱한 곳으로 간다. 강직이라는 게 약으로 해결되는 부분이 아닌데 방법을 더 찾아야 할 것 같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