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사업이 12월부터 시범적으로 돛을 올리게 됐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금융권에서 첫발을 떼기 때문에 당분간은 대부분 은행·카드사·증권사에 있는 개인 정보만 활용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을 준비하는 금융회사들은 “금융 정보에 다른 분야의 데이터가 결합돼야 고객 편익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통신·의료·쇼핑 분야의 정보가 금융 정보와 결합돼야 시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이런 분야까지는 전부 법제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예를 들면 마이데이터 사업 초기에는 은행이 특정 고객이 온라인 몰에서 어떤 신용카드로 얼마를 결제했는지는 알 수 있지만 어떤 물건을 구입했는지까지는 알 수 없다. 비슷하게 카드사가 보험사에서 특정 고객이 어떤 보험 상품에 가입했는지만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 해당 고객이 어떤 병원에서 진료비를 얼마 썼는지까지 공유하면 한 차원 높은 맞춤형 서비스를 할 수 있지만 이런 단계까지 가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통신 분야는 물꼬는 텄지만 스마트폰 사용 요금 정도의 단순한 결제 액수 정보만 공유가 가능하다.

정부 각 부처는 금융이 아닌 분야에서도 폭넓게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의견을 모으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정보까지 활용할 수 있느냐를 놓고 사생활 보호 등을 이유로 논란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법제화 과정에서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집적된 다양한 개인 정보가 해킹 등에 의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 당국은 IT 보안 수위나 정보 보호 능력 등을 엄격하게 심사해 마이데이터 사업자를 허가제로 운영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