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 경제통상장관이 5년여 만에 한자리에 모여 회의를 가졌다.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는 IMF 외환 위기 이후 동북아 3국 협력을 위해 출범, 2002년부터 거의 해마다 열리다가 2019년 12월 베이징 회의 이후 코로나 확산 등의 영향으로 중단됐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5월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후속 조치 논의가 주요 안건이었지만, 일정 조율이 늦어지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쏟아지는 중에 만남이 이뤄지면서 관심이 쏠렸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진행된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회의'에 참석한 무토 요지(왼쪽)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안덕근(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조인원 기자
3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진행된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회의'에 참석한 무토 요지(왼쪽)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안덕근(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조인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안덕근 장관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이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3차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가졌다고 이날 밝혔다.

중국은 이번 3국 및 양자 회의에서 과거와 달리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한중 FTA 2단계 협상 가속화도 제안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한·중·일 FTA는 2012년부터 협상을 시작했지만, 중국이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10년 넘게 진도가 나가지 못했고, 2015년 발효된 한중 FTA의 2단계 협상 또한 우리 요청에도 그동안 중국은 미적지근한 반응이었다. 한 관계자는 “주로 일본이 이끌던 한·중·일 FTA 협상 논의를 중국이 먼저 나서서 언급하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그동안 한·중·일 FTA를 맺으면 자국 산업이 타격을 입는다며 협상을 미뤄왔지만, 미국이 무역 장벽을 세우며 한·미·일 공조에 균열이 예상되자, 그 틈을 파고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수동 산업연구원 단장은 “중국이 시장 개방 의지를 보인다면 한·중·일 FTA 협상이 급물살을 탈 수 있겠지만, 미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일본의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부 관계자는 “한중 FTA 개정은 우리가 계속 요구해온 사안이고, 한·중·일 FTA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면서도 “각국이 입장 차를 좁히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