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20일/배너

김민철의 꽃이야기입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 위주로 꽃이야기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위 대문 사진 꽃은 초봄 야생화인 처녀치마입니다. ^^


막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 복자기.

서울도 단풍이 들기 시작했다. 설악산 등은 단풍 절정이 지나고 있지만 서울은 이번주부터 울긋불긋 단풍이 본격적으로 들 전망이다. 자주 볼 수 있는 단풍에 대해 미리 공부하고 단풍을 맞이하면 어떨까.

먼저 신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당단풍. 잎이 손 모양으로 갈라지는 단풍나무들이다. 뒤로 갈수록 갈라지는 갈래가 점점 많아진다. 신나무는 3, 고로쇠는 5~7, 단풍나무는 5~7, 당단풍은 9~11 갈래다.

먼저 신나무는 3갈래로 갈라진다. 아래 사진에서 보듯, 양쪽 두 갈래는 작고 가운데 갈래는 크다. 잎자루가 붉고 나무 키는 작은 편이다. 마을 근처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데, 단풍이 예뻐서 조경수로도 쓰는 나무다.

신나무.

고로쇠나무는 손바닥 모양, 그러니까 5갈래로 갈라진다. 앞 양끝에 작은 갈래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 7갈래다. 수액을 채취해 마시는 바로 그 나무다.

고로쇠나무. 오른쪽 위쪽 잎은 5갈래, 가운데 아래 잎은 7갈래로 갈라져 있다.

단풍나무는 5∼7갈래로 갈라진다. 고로쇠나무와 갈라지는 개수는 같지만, 단풍나무는 깊게 갈라지고 고로쇠나무는 얕게 갈라지므로 구분할 수 있다. 공원 등에서 다양한 품종들을 볼 수 있지만 갈라지는 개수는 기본적으로 5~7갈래다.

단풍나무. 잎이 5~7갈래로 갈라져 있다.

당단풍나무는 9∼11갈래로 갈라진다. 당단풍나무와 단풍나무는 나무 크기도 비슷하고, 잎도 가늘게 갈라지는 것도 비슷한데, 잎이 몇 개로 갈라졌는지로 구분할 수 있다. 잎의 크기도 당단풍나무는 지름 9∼11㎝쯤, 단풍나무는 지름 5∼6㎝로 당단풍나무 잎이 더 크다. 당단풍나무는 ‘당(唐)’자를 쓰지만 우리 자생식물이다. 서울 등 중부지방 산에서 자생하는 단풍나무는 당단풍나무다. 남부지방의 산에는 주로 단풍나무가 많고 당단풍나무도 섞여 자란다. 그러니까 북한산, 설악산, 오대산에서 단풍 든 나무는 9~11갈래인 당단풍나무이고, 내장산, 지리산, 무등산에서 단풍 든 나무는 주로 5~7갈래인 단풍나무다.

당단풍나무 잎. 9~11갈래로 갈라진다.

다음으로 복자기는 아래 사진처럼 3개의 작은 잎 한 세트(3출엽)를 이루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복자기는 단풍 색깔이 가장 붉고 빼어나기로 유명하다. 광릉 국립수목원 단풍이 유난히 붉고 선명한 것은 복자기나무가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산에 가면 볼 수 있는 나무지만, 요즘은 선명한 단풍을 보기위해 공원이나 길거리에도 심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복자기는 이름이 특이한데, 정확한 이름 유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점쟁이를 뜻하는 ‘복자(卜子)’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복자기. 3개의 작은 잎이 한 세트를 이루고 있다.

다음 두가지는 산에는 없고 공원에서 볼 수 있는 단풍나무 종류다. 그중 가장 흔한 것이 중국단풍 아닌가 싶다. 중국단풍 잎은 아래 사진에서 보듯, 3갈래지만 오리발자국 모양이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공원이나 아파트 조경수로 많이 심어놓았다. 노란색 또는 붉은색 단풍이 든다.

중국단풍. 잎이 오리발자국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진다.

공작단풍(세열단풍)은 공원이나 정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잎이 갈가리 찢어져 있어서 금방 구분할 수 있다. 단풍나무의 원예품종 중 하나인데, 잎이 마치 공작새의 깃털 같다고 붙인 이름이다. 잎의 폭이 매우 좁으면서 잘고 길게 갈라졌다고 ‘세열(細裂)단풍’이라고도 부른다.

공작단풍. 세열단풍이라고도 부른다.

이밖에 깊은 산에 가면 복자기 비슷한 복장나무(톱니가 촘촘), 시닥나무, 청시닥나무, 부게꽃나무, 산겨릅나무 단풍을, 공원 등에서 잎 뒷면이 은빛인 은단풍, 캐나다 국기에 들어 있는 설탕단풍나무 단풍도 볼 수 있다. 설탕단풍나무 수액으로 메이플시럽(maple syrup)을 만든다.


김민철의 ‘꽃이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84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