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동물원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65

오늘은 여간해서 보기 어려운 표범의 독특한 사냥 장면을 담은 동영상(Lone Star Outdoor Show 페이스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얼핏 표범 가족의 즐거운 마실인줄 알았습니다. 덩치가 아담한 점박이 무늬 짐승이 앞서가자 훤칠하게 큰 덩치의 표범이 뒤쫓아갔거든요. 어미와 새끼가 사냥연습을 하며 즐거운 사바나의 한때를 보내는 것 같았죠. 그러나 찰나도 지나지 않은 순간 포식자와 피식자의 살육전이었다는 게 드러납니다. 어미 표범이 다칠세라 입술만으로 새끼 표범의 목덜미를 가볍게 물고 있는게 아니었습니다. 표범의 이빨에 목덜미를 꿰뚫린채 버둥거리고 있는 것은 어린 표범처럼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종이었죠. 바로 아프리카의 야생 삵인 서벌이었습니다. 지금 막 표범에게 사냥당했어요. 버둥거리며 내지르는 ‘미이이야오, 캬아앙~’ 소리가 모니터를 뚫고 귀에 들릴 듯 합니다.

같은 고양이과인 서벌을 사냥하는데 성공한 표범이 먹잇감의 목덜미를 물고 있다. /Lonestar Outdoor Show facebook

표범처럼 노란색에 검은 점박이 털가죽 무늬를 한 서벌은 표범, 치타, 사자, 호랑이, 재규어 등과 마찬가지로 고양이과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인간의 기준에서 생물학적으로 같은 족속이라는 이유로 이 표범이 어렵게 잡은 사냥감을 놔줄리 없습니다. 배고프면 동족의 새끼도 잡아먹는게 표범이거든요. 하지만, 큰 고양이가 작은 고양이를 사냥하는 모습을 좀처럼 보기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주로 표범은 맹수계의 국민 먹거리 임팔라를 매복 사냥해 숨통을 끊어놓은 뒤 물고 나뭇가지위로 올라가 천천히 식사를 즐기거든요. 아마도 눈에 보이는 건 닥치는대로 잡아먹어야 하는, 먹이사정 곤궁한 건기에 일어난 일로 보입니다. 실제로 동영상에 나오는 풀들이 바싹 말라붙어있거든요.

/Lonestar Outdoor Show Facebook 서벌을 사냥한 표범이 목덜미를 물고 사체를 끌고 어딘가로 향하고 있다.

목덜미를 꿰뚫린 서벌은 최후의 저항을 해보지만, 이게 부질없는 일이라는 건 녀석도 본능적으로 알 것입니다. 내가 곧 잡아먹힐 거라는 걸, 그러나 어쩔 도리가 없다는 걸 스스로 인식한다는 것처럼 끔찍한 일도 없을 것입니다. 사바나를 호령하며 놀라운 점프력으로 날아오르는 새도 잡고, 구덩이의 설치류를 기가막히게 찾아내던 사냥꾼 서벌이, 그렇게 한 집안 큰 형님 뻘에게 사냥당합니다. 이윽고, 표범에게 물린 채 혼이 빠져나간 몸뚱아리가 질질 끌려갑니다. 이렇게 죽어가는게 한이 맺힌 듯 퀭하게 치켜뜨며 부릅뜬 눈이 애처롭습니다. 아마 간에 기별도 안갈정도이겠지만, 표범은 이렇게 건기 속에 하루를 연명할 기력을 창출하겠죠. 자연은 균형자입니다. 살코기와 내장이 뜯겨나가고 남은 거죽은 산미치광이, 벌레와 박테리아들의 저녁상입니다. 죽은 채로 치켜뜬 눈알과 실핏줄까지도 하나도 헛되이 버려리지 않고 대지의 양분으로 소비될 것입니다.

/Animalogic Youtube 서벌이 재빠른 몸짓으로 들쥐를 사냥한 뒤 한 입에 씹어먹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양이과 짐승들은 얼핏 양극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한쪽에 ‘~묘’라는 인격체를 부여받은 반려고양이들이 있으면, 다른 한쪽에는 야생을 호령하는 맹수들이 있죠. 하지만, 그 극과 극의 틈새를 메우는 중간계 고양이들의 존재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삵과 들고양이로 통칭되는 존재들이죠. 대형 맹수가 부재한 곳에서 이들은 포식자로 군림하며 생태계를 조절하는 통제자 역할을 하거든요. 서벌 역시 사바나를 대표하는 중간계 고양이입니다. 꼬리를 뺀 머리몸통길이만 최장 100㎝에 달하는 서벌의 몸뚱아리가 10㎝만 더 컸어도 사바나의 먹이 경쟁 구도는 송두리째 뒤바뀌었을지 모릅니다. 재칼이나 리카온 등 개과 맹수들과도 호적수가 됐을 수 있습니다. 서벌의 놀라운 순발력을 보여주는 사냥 동영상 장면(유튜브 Animalogic) 보실까요?

서벌과 비슷한 덩치를 한 중간계 고양이들 중 대장격은 단연 스라소니라고 할 수 있겠죠. 한반도 북부 일부에는 극소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중·남부에서는 사실상 자취를 감췄지만, 공식적으로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있습니다. 서벌처럼 아프리카 사바나에 주로 살면서 덩치와 습성도 빼닮았지만, 점박이 무늬가 없어 어찌보면 작은 사자나 퓨마처럼 보이는 카라칼도 카리스마가 상당한 중간계 고양이입니다. 기하학적 무늬의 털가죽을 한 오셀롯, 길쭉한 몸뚱아리가 족제비에 더 가까운 느낌을 주는 재규어 런디도 중간계 고양이로 중남미의 생태계를 나름 호령하고 있죠.

/Animalogic Youtube 서벌이 사바나에서 대형 설치류를 사냥한 뒤 버둥거리는 먹잇감을 입에 물고 있다.

현재 한반도 중·남부에 살고 있는 고양이과 최대 맹수는 역시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는 삵입니다. 하지만 덩치는 중간계 고양이보다는 길고양이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죠. 지금은 볼 수 없게 된, 호랑이·표범·스라소니 등이 모두 야생에 살고 있으면 어땠을까 상상해봅니다. 카리스마 있는 대형 토종 맹수와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다는 자부심의 이면에는 사람의 목숨이 위태롭다는 실존적 공포가 도사리고 있을 터입니다.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 지금처럼 활성화되는데도 상당한 제약이 있었겠죠. 하지만 사람 손에 길러지다 버려진 유기 고양이와 개가 산과 들을 터전으로 삼고 들짐승화되면서 벌어지는 여러가지 부정적 상황들이 어느정도 통제·해소됐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천적의 존재가 그래서 중요합니다.

수요동물원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