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에게도 읽기는 어려운 일이다.” 어린이책 평론가인 한미화의 책에서 작은 제목 하나가 딱 눈에 꽂혔다. 정말 맞는 말이다. 나는 책 읽기가 어렵고, 재밌지도 않다. 언젠가 은퇴하면, 더 이상 책을 읽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지금도 책 읽기가 싫고, 첫 장 열 때는 무섭다. 그래도 먹고살기 위해 억지로 참고 읽는다. 한미화의 ‘아홉 살 독서수업’(어크로스)은 정말로 간만에 “맞아, 맞아” 하면서 읽은 책이다. 둘째가 한참 그 나이인데, 올해 여러 가지로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는 입원 안 하고 넘어갈까 했는데, 지난주에 결국 입원을 했다. 책 읽으라고 할 상황은 아니다. 학교생활을 너무 힘들어 해서 닌텐도도 사줬다. 그래도 책을 좀 읽었으면 하는 생각에 제일 도움이 될 만한 책 한 권을 집어들게 되었다.

영국에서 뒤늦게 시작된 저소득층 어린이 독서 운동은 빈곤 퇴치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독서 능력이 그대로 경제적 계층으로 연결된다는 게 선진국 독서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인식이다. 이 말은 맞는 말이다. 인류는 오랫동안 지배층만 독서를 했다. 20세기 중·후반 이후로 노동자들도 독서하는 시기가 잠시 펼쳐지기는 했지만, 디지털 전환 이후로 다시 지배층만 독서하는 시대로 돌아가는 것 같다. 어린이들에게 책 읽히는 게 너무 어려우니까, 영국에서 프리미어리그 축구팀이 학교에 가서 책을 같이 읽혔더니 효과가 좋았다는 대목은 너무 부러웠다. 우리도 그렇게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스타들이 학교에 가서 같이 책 읽기, 우리 사회가 가난한 어린이들을 위해서 해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경제적 대책이 아닐까 한다. 아직 한국에 없는 봉사 프로그램이다.

우석훈 성결대 교수

“반면 읽기는 본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능력이다.” 이런 문장을 보면서 어린이 키우기가 얼마나 힘든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초등학교에 막 들어갈 자녀들의 부모에게 이 책은 ‘머스트 해브 아이템’이다. 책을 다 읽고 나서 하루에 조금씩 시간을 내서, 초등학교 3학년인 둘째에게 책을 소리 내서 읽으라고 하고, 내가 그걸 듣고 설명해주는 걸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자 여러분도 이 책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