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금드리개, 금귀걸이, 가슴걸이 세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생전 병약했던 신라 공주의 넋이 저승에선 편안하길 바라는 마음이었을까. 1500년 전 세상을 떠난 소녀의 무덤엔 약재 빻는 돌절구와 공이, 불로장생의 약이라는 운모(雲母) 50여점이 들어 있었다. 금동관, 금귀걸이, 금·은 팔찌와 반지 등 호화 장신구 일체가 망자가 착장한 상태 그대로 나왔고, 신라 최상급 무덤에서만 출토됐던 비단벌레 장식과 바둑돌도 무더기로 나왔다.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돌절구와 공이 세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 44호분 바둑돌 출토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이 화려한 무덤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2014년부터 발굴 조사 중인 경주 쪽샘 44호. 지난해 호석(護石·무덤 둘레에 쌓는 돌) 주변에서 기마·무용·수렵 행렬도가 그려진 토기 항아리 조각이 나와 화제가 됐던 곳이다. 연구소는 “금동관, 금드리개, 금귀걸이, 가슴걸이, 금·은 팔찌와 반지, 은허리띠 장식 등 장신구 일체와 함께 비단벌레 딱지날개로 제작된 금동 장식 수십 점, 돌절구·공이 세트, 바둑돌 200여점, 운모 50여점이 쏟아져 나왔다”며 7일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현장을 공개했다. 트럭 198대 분량의 돌무지 약 992t을 걷어낸 뒤에야 비로소 무덤 주인공의 실체가 드러났다.

경주 쪽샘 44호분 주인공 착장 장신구 세트. 금동관, 금드리개, 금귀걸이, 가슴걸이, 금은 팔찌와 반지, 은허리띠 장식까지 일괄로 나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조사단은 망자를 5세기 후반의 10대 왕족 여성으로 추정했다. 허리에 큰 칼을 차는 대신 여성의 상징인 작은 은장도(손칼)를 지녔고, 금동관을 비롯해 귀걸이, 팔찌, 허리띠 장식 등이 모두 앙증맞게 작다는 게 근거다. 출토 유물로 볼 때 키는 150㎝ 전후. 이한상 대전대 교수는 “장신구 사이즈를 맞춤형으로 제작했다는 것도 망자의 높은 신분을 보여준다”며 “특히 눈금이 정밀하게 새겨진 금팔찌는 금관총·서봉총에서만 나왔을 정도로 최고급 유물인데, 왜 금관이 아니라 한 등급 낮은 금동관을 썼는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경주 쪽샘 44호분 피장자가 왼팔에 착장했던 금은팔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 44호분 피장자가 했던 오른쪽 금귀걸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돌절구가 출토되는 모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돌절구와 비단벌레 장식, 바둑돌도 이 무덤이 최상위 신라 고분임을 보여준다. 특이한 건 주인공 머리맡 부장품 상자 안 철솥 바로 옆에서 나온 돌절구와 공이, 그리고 망자의 상반신을 에워싸듯 둘려 있던 운모 장식이다. 운모는 화강암에 많이 들어있는 광물로, 도교에선 운모를 장기간 복용하면 불로장생할 수 있다고 여겼다. 심현철 연구원은 “돌절구는 높이 13.5㎝, 폭 11.5㎝ 작은 크기라 곡물 빻는 용도가 아닌 약제 조제용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주보돈 경북대 명예교수는 “피장자의 평소 생활과 관련된 유물로 보인다. 생전 병약했던 망자가 사후(死後) 세계에서도 쓸 수 있도록 약용 절구와 장생불사를 기원하는 운모를 넣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지금까지 신라 고분에서 돌절구가 출토된 사례는 황남대총 남분에서 나온 돌절구·공이 1세트, 서봉총에서 나온 공이 1점뿐이다.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금동장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쪽샘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금동장식과 재현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인공 머리맡에서 수십 점 확인된 비단벌레 장식도 눈길을 끈다. 영롱한 금녹색이 반짝이는 비단벌레의 딱지날개 2장을 겹쳐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앞뒤판 둘레를 금동판으로 고정했다. 비단벌레 장식은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계림로 14호 등 최상급 무덤에서 나왔지만, 이 같은 형태의 1.6×3.0㎝ 크기 소형 장식은 처음이다. 피장자 발치 아래에 200여점 모여있던 바둑돌도 흥미롭다. 크기는 지름 1~2㎝, 흑·백·회색의 자연석이 섞여 있다. 연구소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신라에는 바둑을 잘 두는 사람이 많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동안 남성의 전유물로 여겼던 신라의 바둑 문화를 여성도 즐겼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