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등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국내 방송계도 정체에 빠졌다. 지난해 국내 유료 방송 가입자 증가율이 처음으로 0%대로 떨어지는 등 유료 방송을 해지하고 OTT로 옮겨 가는 ‘코드 커팅(Cord-cutting)’ 우려가 현실이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IPTV·케이블TV·위성방송 등 유료 방송 가입자는 3624만 8397명으로 상반기 대비 0.67%(24만명) 증가했다. 집계 이래 가입자 증가율이 1% 아래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플랫폼 내에서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등 OTT를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한 IPTV는 가입자가 소폭 증가했지만,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가입자가 줄어들었다.

반면 국내 OTT 앱 사용자는 3000만명을 넘어섰다.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OTT 앱 설치자는 올해 4월 기준 3008만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증가율이 112.3%, 48.3%, 26.8%, 7.5%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유료 방송 가입자는 셋톱박스를 설치한 가구 기준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OTT 앱과 단순 비교할 순 없지만, 국내에서도 OTT 이용자 수가 유료 방송 가입자 수에 육박하게 됐다.

OTT의 인기로 유료 방송이 고사 위기에 놓이자 OTT 업체에도 방송발전기금을 걷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하지만 국내 OTT 업체 또한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OTT 공룡들에 밀려 매년 적자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6월 기준 넷플릭스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1142만명으로 국내 주요 OTT인 티빙(519만명), 웨이브(395만명)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

넷플릭스의 독주를 막기 위해 오리지널 콘텐츠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면서 국내 OTT도 벼랑 끝에 몰렸다. 지난해 CJ ENM이 최대 주주인 OTT 티빙은 1191억원, 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합작한 OTT 웨이브는 1216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국내 OTT 업계 관계자는 “OTT에 방송발전기금을 부과해도 넷플릭스엔 국내법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가뜩이나 적자에 시달리는 국내 OTT에 역차별이 될 것”이라면서 “막대한 자본을 지닌 넷플릭스가 좋은 콘텐츠들을 독점해 유료 방송이나 국내 OTT는 콘텐츠 수급조차 힘든 상태”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