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증 증상 발생 후 24시간 이후에 병원에 오면 사망 위험도가 62%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전도를 찍었을 때 ST분절 상승 여부 유무 따라 ST분절상승과 ST분절 비(非)상승 심근경색으로 나뉜다. ST분절상승 심근경색은 심장의 큰 혈관이 막히는 경우로 주로 심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은 작은 혈관들이 막히는 경우로 상대적으로 증상이 미미할 수 있다.

고려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안태훈, 차정준 교수와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배성아 교수 연구팀은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에서 ST분절 비상승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6500여 명을 3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조사했다. 증상 발생 후 병원에 24시간 이내 도착한 그룹과 24시간 지나 도착한 그룹을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24시간 이후 도착 그룹은 3년 사망 위험도가 1.62배 더 높았다. 24시간 이후 병원에 오게 된 요인으로는 고령, 여성, 비특이적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당뇨환자, 119구급차 미이용 등이 꼽혔다.

안태훈 교수는 “병원 방문 지연이 환자의 기저 질환에 관계없이 사망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라며 “코로나 사태와 상관없이 가슴 통증, 숨찬 증상이 있을 때는 참지 말고 빨리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심근경색증 생존율을 높이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심장학회지 최신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