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석재의 돌발史전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79194
‘논어’를 읽다 보면 가끔 저절로 미소가 머금어지는 곳이 있습니다. 지극히 성인군자적인 자세를 취하던 공자마저도 가끔은 온몸을 휘감아 눈에서 휘황한 광채를 내뿜을 정도의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지어 말을 더듬은 흔적까지 보입니다. 예를 들어 공야장(公冶長)편의 다음과 같은 부분입니다.
或曰: 雍也, 仁而不녕(人변, 二밑에女).
혹왈: 옹야, 인이불녕.
[어떤 사람이 “옹(雍)은 어질지만 말재주가 없다”고 말했다.]
子曰: 焉用녕, 禦人以口給, 屢憎於人, 不知其仁, 焉用녕.
자왈: 언용녕, 어인이구급, 누증어인, 부지기인, 언용녕.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약삭빠른 구변으로 남의 말을 막아서 자주 남에게 미움만 받을 뿐이니, 그가 어진지는 모르겠으나,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이 문장에서 공자는 분명히 흥분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말 앞과 뒤에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라는 부분을 반복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주주(朱註)는 물론 아주 점잖게 해석합니다. “이 말을 두 번 말씀하신 것은 깊이 깨우치기 위해서다[所以深曉之].” 하지만 이걸 그 당시 공자께서 말씀하신 구어체 말투 그대로 되살리면 대개 이런 말씀이 되지는 않을까요.
“뭐야... 말재주라고? 이런 세상에, 마... 말재주를 도대체 어디에다 쓴다는 거야 이 녀석아? 말재주란 건 말이야 약삭빠른 그 입 가지고 남의 말을 막아서 번번이 다른 사람한테 미움받아 왕따당하기 십상이야 이눔아... 참 아까 너 옹이보고 뭐 어질다 어떻다 했었지? 옹, 그, 그놈의 녀석이 도대체 어진지 안 어진지는 내가 잘 모르겠는데 말야... 어쨌든... 그게 문제가 아니고... (내가 무슨 얘길 하고 있었지?)... 하여튼 마! 말재주를 도대체 어디에 쓴다는 거냔 말야.”
분명히 화제의 비약과 중언부언이 중첩되는 이 문장에서 공자는 흥분한 나머지 말을 더듬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이 나올 때마다 공자의 인간적인 면모는 더욱 부각돼 읽는 사람의 마음을 흐뭇하게 하곤 합니다. 자, 그러면 도대체 옹(雍)은 누구였으며, 공자는 왜 이렇게 분노했던 것일까요?
‘옹’이란 ‘염옹’이란 인물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공자의 제자인 염옹의 자(字)는 중궁(仲弓)이었다고 사마천의 ‘사기’ 중니제자열전에 기록돼 있습니다. 벼슬했다는 기록은 고작 노(魯)나라의 세족이었던 계씨(季氏)의 재(宰) 정도였는데, 매우 소탈하고 과묵한 사람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목석같은 제자에 대해서 공자가 언급한 칭찬은 그야말로 ‘논어’ 전편을 통틀어서도 너무나 튀는 내용이어서 독자들을 당혹하게 합니다.
“옹은 남면(南面)하게 할 만하다.[雍也, 可使南面]”
아, 이게 웬일입니까? 이게 바로 그 유명한 제6장 ‘옹야’장의 첫머리인데, ‘남면’이란게 도대체 무슨 말일까요? ‘남쪽으로 얼굴을 향한다.’ 이 말은 즉 옥좌에 앉는다, 그러니까 임금 노릇을 한다는 뜻입니다. 자금성이고 경복궁이고 들어가는 문은 남쪽이죠? 오늘날 궁전으로 들어가는 관광객들은 정남향에서 정북쪽을 향해 갑니다.
여러 개 문을 지나면 대전이 나옵니다. 근정전 정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럼 임금이 앉아있던 옥좌가 보입니다. 거기 앉는 사람은 정남향을 보면서 앉아있게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여기 앉아있는 이 사람을 기준으로 ‘좌’는 동쪽이고 ‘우’는 서쪽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수사’는 경상도 동쪽, ‘경상우수사’는 경상도 서쪽이 관할구역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과묵하고도 그다지 신분이 높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되는 이 제자가 ‘남면’을 한다고요?
혹자는 이 ‘남면’이라는 의미는 대부(大夫)나 제후 정도의 지위를 말하는 것이라며, 고작 계씨네 집사 정도의 벼슬에 머물던 애제자를 안타까워하는 공자의 마음을 표출한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혹자는 ‘남면’이야말로 ‘천자’의 자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즉 염옹 정도의 수양을 갖춘 인물이라면 만백성을 다스리는 왕(王)의 위치에 오를 수 있는 것.
다시 말해 이미 임금이란 자리는 대대로 내려오던 세습적 신분에 의해서가 아닌, 덕성을 갖춘 철인군주(哲人君主)에 합당한 사람이 그 자리를 맡을 수도 있다는 그야말로 혁명적인 사고방식이 은연중 드러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공자를 ‘봉건귀족의 구시대적 이데올로기를 확대재생산한 인물’ 정도로 평가했던 문혁시기 중국 학자들은 끝내 그렇게 생각하지 못했겠지만.
그런데 이 제자 염옹의 말솜씨가 어눌한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답답해했던 모양입니다. 주주는 “당시 사람들은 말을 잘 하는 것을 훌륭하게 여겼으므로, 그가 덕에 뛰어남을 찬미하면서도 그의 말재주가 부족한 것을 흠으로 여긴 것”이라고 말합니다. 시대가 이보다 좀 늦습니다마는 ‘사기’의 장의열전에서는 현하웅변으로 일세를 풍미했던 유세가 장의(張儀)가, 초나라에서 좀도둑으로 의심받아 매를 흠씬 맞고 돌아온 뒤 아내에게 “내 혀가 아직 붙어 있느냐?”고 말합니다. 혀가 없는 사람이 어찌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마는 “아직 있다”는 아내의 대답에 “그럼 됐다![足矣]”라고 소리칩니다. 대체로 당시 역시 이렇게 달변이 우대받던 시대.
공자가 “인(仁)한지는 내 모르겠다”고 말한 부분에 대해 (1)염옹에 대해 깊은 애정을 표시한 순간마저도 최고의 실천덕목인 ‘인’에 대한 평가를 허여할 수 없다는 것과(이에 대해서는 주주에 그 논평이 등장합니다) (2)말재주로 인간을 비평하는 세속적 태도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자리에서 ‘인’의 문제는 근원적으로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읽어볼수록 (2)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중요한 건 ‘녕’, 즉 ‘말재주’ 그까짓게 다 뭐냐!라고 말하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왜 그렇게 말재주를 혐오했던 것일까요? 이번에는 주주의 해석을 취해 보겠습니다. “구변 좋은 사람이 남과 응답하는 것은 단지 입으로 약삭빠르게 말해 이기기를 취할 뿐이요, 실정이 없어서 한갓 남들에게 미움을 받는 일이 많을 뿐이다.[녕人所以應答人者, 但以口取辯而無情實, 徒多爲人所憎惡爾]”
마치 입으로 서커스를 보여주는 듯한 현란하고 화려한 언변은 그 알맹이[情實]를 철저히 도외시한 결과요, 언변이 뛰어나 일부 사람들의 환심을 살 수는 있겠지만, 필경에 가서는 사람들의 미움을 자초하는 것이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 때로는 위기를 넘기는 절묘한 수단이 될 수도 있겠고, 때로는 지극히 의도적인 비어(卑語)를 통해 그런 말투를 즐겨 사용하는 꽤 많은 사람들마저 친근감을 느끼도록 조장할 수도 있겠고, 때로는 오기로 밀어붙여 스스로 만들어놓은 그물에 자신을 싫어하는 사람과 좋아하는 사람들 모두를 들어오지 않을 수 없게끔 몰아넣을 수도 있겠고, 때로는 많은 사람들을 포용할 것처럼 작위하면서도 교묘하면서도 철저히 피아(彼我)를 갈라놓아 어느 한 쪽에 서지 못하고는 못 배기도록 커다란 판을 벌일 수도 있겠고, 마침내는 그 판 위에서 이전엔 결코 보지 못했던 날선 대립과 갈등을 단 한 번에 펼쳐 그토록 원하던 ‘지배세력의 교체’라든가 뭔가를 이뤄보려 할 수도 있겠지요. 산발적으로 끊임없이 이뤄지던 전투를 종결시키기 위해 물자와 인력을 단 한 지점으로 몰아넣어 한판승부를 벌였던 제1차 베트남전의 디엔비엔푸 전투처럼 말이죠.
하지만 이 시점에서 끝내 남고야 마는 공자의 단 한 마디는 바로 이겁니다. “누증어인(屢憎於人).” 여기서 ‘인(人)’이란 ‘국인(國人)’이나 ‘비인(鄙人)’처럼 계급적 의미가 담긴 말이 아닌, 포괄적이고 다층적이며 장기지속적인 의미입니다.
그렇게도 많은 사람들을 둘 중 어느 한 곳에 서지 않을 수 없는 것처럼 상황을 몰아붙이는 그 ‘말재주’는 결코 보편적일 수도 없고 영원할 수도 없다는 것은, 바로 그 조각조각 나뉘어진 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지니고 있을 저 섬뜩한 날[blade]들 자체가 이미 스스로 말해 주고 있다는 것을, 그 ‘말재주’만으로는 결코 깨달을 수 있는 경지에 오르지 못할 겁니다.
▶'유석재의 돌발史전’은
역사는 과거의 일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입니다. 뉴스의 홍수 속에서 한 줄기 역사의 단면이 드러나는 지점을 잡아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매주 금요일 새벽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유석재의 돌발史전 뉴스레터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79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