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5시 조선일보 경제 유튜브 채널 ‘조선일보 머니’와 조선닷컴 홈페이지를 통해서 공개된 ‘조선일보 경제부의 5분컷 뒷담화’에선 조선일보 경제부 손진석 기자가 진행자로 나서서 이창용 한국은행 신임총재에 관한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조선일보 경제부의 5분컷 뒷담화’는 조선일보 신문만 보셨다면 아쉽게 놓쳤을 기사를 다시 보며 숨겨진 뒷이야기를 5분간 짤막하게 풀어내는 콘텐츠입니다.

지난달 21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공식 취임했다. 지난 3월 차기 한국은행 총재로 지명된 그는 세간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제20대 대통령선거가 끝난 이후 지명된 데다 전통 한은맨이 아닌 외부 출신이 수장 후보로 오른 까닭이다. 조선일보 경제부 손진석 기자는 유튜브 ‘5분컷 뒷담화’를 통해 이창용 총재에 관해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공개했다.

◇서울대 교수·IMF 아태 담당 국장이자 신사임당의 후손

이 총재와 한국은행의 인연은 5000원권 지폐에 있다. 5000원권 지폐의 앞면에 율곡 이이의 초상화가 들어가 있다. 이 총재는 신사임당의 막내아들이자 율곡의 동생인 유명 서화가 옥산 이우(1542∼1609)의 16대 종손이다. 대대손손 학자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인지 그의 동생은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장인 이우용 교수다.

이 총재 본인 역시 남다른 배경을 자랑한다. 1960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이 국장은 서울 인창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1989년에는 29세의 나이로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가 됐다. 1994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임용됐다.

2008년부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으며 행정가의 길을 걸은 그는 이후 해외로 무대를 넓혔다. 2011년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수석이코노미스트로 발탁된 데 이어, 2013년 IMF(국제통화기금)의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으로 발탁돼 한국인 최초로 IMF에서 국장급 간부가 됐다.

◇한은이 총재 없이 기준금리 결정한 이유

지난달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려 연 1.5%로 결정했다. 한은이 총재 공석 상태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건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주열 전임 총재의 임기가 3월 말 끝난 데다, 당시 후보자였던 이창용 총재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같은 달 19일에 예정돼 있어 그가 4월 금통위를 주재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총재 공석 금통위라는 초유의 사태를 야기한 가장 큰 원인은 대통령 선거다. 손진석 기자는 “대선을 치르기 전에 정부가 차기 총재를 지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는데, 현 정부가 대선 결과를 본 후에 후보를 임명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취임 전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상한 것을 두고 이 총재는 “내 생각과 같다”라고 얘기를 했다. 이 총재는 현재 전반적으로 ‘성장’보다 ‘물가’가 더 우려스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물가상승이 가장 우려스러워…민간 주도의 성장 필요

이 총재가 공식 취임한 후 그의 통화 정책을 둘러싼 궁금증이 일었다.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가 5월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통상적인 금리 변화 폭의 2배인 0.5%포인트의 금리를 올리는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 총재는 빅스텝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기준금리를 올려서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취지의 이야기는 계속해왔다. 취임 후 첫 기자 간담회에서도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가 모두 우려되지만, 지금까지는 전반적으로 물가가 더 걱정스럽다”며 “통화 정책 정상화 기조가 계속되겠지만, 금리 인상 속도는 데이터가 나오는 것을 보고 결정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인사청문회에서도 ‘물가를 어떻게 해결할지 구체적인 의견을 달라’는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인기는 없더라도 금리 인상 시그널(신호)을 줘서 물가가 더 크게 오르지 않도록 전념하겠다”고 대답했다.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시해 인플레이션 심리가 확산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그는 경제 정책의 프레임도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과거처럼 정부가 산업정책을 짜고 모두가 밤새워 일한다고 경제가 성장하는 시대가 아니다”라며 “민간 주도의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소수의 산업과 국가로 집중된 수출·공급망도 다변화하는 구조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