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약 40%가 여전히 일하고 있고 홍콩에서는 노인 8명 중 1명, 일본에서는 4명 중 1명이 일을 하고 있다. 미국 노인의 18%만이 일하는 것과 비교하면 높은 비중이다.”
7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65세 이상인데도 계속 일해야 하는 노인 인구가 늘고 있다”며 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의 노령화가 전 세계 어느 곳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70대 이상인 노인들이 고된 노동을 하는 현실을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동아시아 전역의 인구는 감소 추세다. 이에 따라 노동 시장에 진입하는 젊은이들의 비중은 줄고 있다. 정부가 감당해야 하는 연금 총액은 늘고 있지만 이를 지탱할 젊은이가 줄면서 노인들에게 충분한 생활비를 지급하기는 어렵다. 이에 노인들은 생계유지를 위해 사실상 은퇴하지 못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일하는 노인의 모습을 성공적인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등 성공적인 모습으로 그리지만, 실제는 다르다. 한국·일본·중국·홍콩의 노인 근로자들은 대부분 저임금의 사무실 청소부, 식료품점 점원, 배달서비스 운전기사 또는 경비원으로 일한다. NYT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고령 근로자들은 불안정한 저임금 계약직으로 종사한다”며 “한국, 일본, 중국인이 퇴직 이후 받는 기초 연금은 일반적으로 기본생활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 500달러(약 63만원) 미만”이라고 짚었다.
이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의 노인들은 부족한 생활비를 벌기 위해 일자리를 구한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고령 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한 임시 직업소개소와 노조가 결성되는 등 노동 시장이 달라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계단에 추가 난간을 설치하거나 근로자를 위한 추가 휴식 공간을 마련하는 등 고령 근로자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는 중소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며 고령화된 노동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기업들도 고령 노동자 찾기에 나섰다. 일본 기업의 약 50%는 정규직 근로자가 부족하고, 그 자리를 노인으로 채우고 있다. 일본 도쿄의 한 회사는 구인 공고에 “지원자가 최소 60세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하기도 한다. 해당 업체의 사장은 NYT에 “65세 이상, 심지어 75세인 사람들이 매우 활동적이고 건강하다”고 말했다. 도쿄의 아파트 관리회사인 ‘도쿄 커뮤니티’ 직원의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이다. 연봉이 230만 엔(약 2200만원)에 불과해 젊은이들은 꺼리지만, 노인들은 연금을 보충하기 위해 아파트 관리직도 마다하지 않기 때문이다.
NYT는 “인구통계학자들은 수년 동안 부유한 국가가 겪게될 인구학적 시한폭탄에 대해 경고해왔다”며 “일본과 그 이웃 국가의 정부, 기업, 노인들은 이미 고령화의 광범위한 결과와 씨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화 국가들이 고심하고 있는 문제는 고령 노동자가 직면한 현실은 물론 평생 일한 후 은퇴한 이후에 빈곤에 빠지지 않도록 보장하는 문제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한다”며 “이제 세계의 다른 국가들도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일본, 한국, 중국처럼 고령화 사회 위기에 대응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아시아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