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박상훈

30대 직장인 A씨는 최근 친한 보험 설계사에게 종신보험 가입을 권유받았지만 거절했다. 종신보험은 가입자가 사망할 경우 유족에게 보험금을 주는 보장성 보험이다.

A씨는 “내가 죽고 나서 보험금이 나오면 정작 내가 누리는 혜택은 없지 않으냐”며 “아이를 낳을 계획도 없기 때문에 굳이 종신보험이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대신 그는 35세까지 가입할 수 있는 어린이보험 ‘막차’를 탔다. 가족의 생계비보다는 자신의 질병 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보험을 선택한 것이다.

◇종신보험 신계약, 2년 만에 40% 급감

한때 가장이라면 반드시 가입해야 할 보험으로 알려져 생명보험사들의 ‘효자 상품’ 역할을 했던 종신보험 인기가 급속도로 식고 있다. 본인이 갑작스레 사망할 경우 ‘생계가 끊기게 되는 배우자나 자녀’가 없는 1인 가구가 많아진 영향이다. 또 맞벌이 가구가 늘며 생계를 혼자 책임지는 가장의 개념이 희박해진 것도 종신보험의 매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0년 85조4000억원이던 생명보험사들의 종신보험 신계약 금액은 작년 49조1000억원으로 불과 2년 만에 약 40% 급감했다. 한 생보사 관계자는 “금리가 올라 종신보험의 금리 매력이 낮아지는 영향도 있었다”면서도 “기본적으로 ‘가장이 죽으면 남은 가족 생계가 막막해진다’는 공포 마케팅이 지금의 젊은 세대에게 잘 먹히지 않는다”고 했다.

그래픽=박상훈

보험 설계사들의 영업 방식도 바뀌었다. 과거 주부들에게 “남편의 사망을 대비해 들어두라”고 설득했다면 요즘은 “부부가 서로를 위해 들어주라”며 배우자를 위해 각자 종신보험에 드는 ‘교차 종신보험’을 권하는 식이다.

하지만 한 설계사는 “요즘은 배우자가 사망해도 완전히 생계가 끊기는 가정이 줄어들면서 차라리 자녀 앞으로 연금보험을 들어주는 경우가 많다”며 “종신보험을 들더라도 자신의 장례비 정도만 책임질 수 있도록 보장 한도도 과거보다 낮게 드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노후 소득·여성 질환 보장…활로 찾는 보험사들

생보사들은 젊은 고객을 잡기 위해 ‘신종’ 종신보험을 내놓고 있다. 작년 11월 푸르덴셜생명(현 KB라이프생명)은 사망 보험금을 담보로 노후 소득을 보장하는 ‘역모기지 종신보험’을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 노후 소득을 확보하려는 가입자가 몰리면서 일반 종신보험보다 평균 가입 금액이 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교보생명은 지난 2월 유방암, 여성 생식기암 등을 보장하는 여성 특화 종신보험을 내놓았다. 건강보험과 결합해, 주요 질병 발생 시 가입 금액의 140%를 진단 보험금으로, 이후 사망하면 10%를 사망 보험금으로 지급한다.

원래 종신보험은 가입자가 사망해야 보험금이 나오는 것과 달리 이 상품들은 살아생전에 가입자도 보험 혜택을 누리고 싶은 심리를 겨냥했다.

종신보험 가입자들은 보통 10~20년간 보험료를 붓는다. 전반적으로 종신보험 수요가 줄자 생보사들은 5~7년만 보험료를 내는 단기납 종신보험을 적극 팔고 있다.

100% 이상의 해지 환급률을 강조하며 마치 단기납 종신보험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고 홍보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단기납 종신보험은 납입 기간이 짧은 만큼 보험료가 더 비싸다. 또 종신보험은 가입자가 낸 보험료에서 사업비(설계사 수당 등)와 위험보험료(보험금 지급 재원)를 많이 떼기 때문에 은행 정기예금보다 수익률이 낮은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