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은 2025년 이후 출시 예정인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의 방향성을 소개하는 ‘UX 테크데이 2022′를 지난 16일 개최했다. 다양한 목적에 따라 차량을 제작하는 PBV 특성상 실내 공간을 어떻게 확보하는지가 중요하다. 완성차 업체 전문가들은 향후엔 차량 성능만큼 공간 활용 기술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날 행사에는 다양한 인테리어 콘셉트와 기술, 사전 제작 모형 등이 전시 돼 2025년 현대차그룹이 선보이게 될 PBV의 모습이 일부 공개됐다.

현대차그룹 스터디벅/현대차그룹

이날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건 콘셉트 카를 만들기 전 나무로 만든 사전제작 모형인 ‘스터디 벅’과 이를 실제로 구현한 ‘엔지니어링 벅’이다. 엔지니어링 벅은 2025년을 목표로 개발중인 PBV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공항을 오가는 여행객을 실어 나르는 ‘공항 픽업용 PBV’를 콘셉트로 개발된 차량이다.

현대차 엔지니어링벅/현대차그룹

트렁크 공간을 완전히 없애고 탑승 공간을 뒤쪽까지 넓혀 최대 다섯명이 앉을 수 있게 한 게 특징이다. 조수석도 없애고 이 자리엔 캐리어 거치대를 마련했다.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교통 약자의 탑승 편의를 고려해 휠체어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 폭을 극대화한 도어 시스템 등 25건의 신기술이 탑재됐다. 3열 시트 중 가운데 좌석은 접어서 컵홀더로 활용하게 하는 등 사소한 공간 활용도 신경 쓴 모습이다. 뒤를 향하는 좌석의 경우 현재 법규로는 설치가 불가능하지만,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향후 규제 개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엔지니어링벅 실내/현대차그룹

현대차, 기아와 미국 MIT 미디어 랩이 공동으로 개발한 ‘반응형 PBV 시트 콘셉트’도 선보였다. 시트가 승객의 몸을 알아서 감지한 뒤 체형에 맞게 시트 모양을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불특정 다수의 승객을 태우는 PBV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긴 벤치 모양의 좌석을 승객 수와 체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한 승객 편의성을 높여주는 ‘모드 변환 콕핏’을 선보였다. 운전이 가능한 드라이브 모드 뿐 아니라, 자율 주행에 따라 운전대가 들어가고,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오피스 모드, 조명이 은은하게 바뀌며 공기 청정과 살균 기능, 시트가 뒤로 젖혀지는 ‘릴렉스 모드’ 등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로 바뀐다.

현대모비스 모드 변환 콕핏/현대차그룹

현대트랜시스는 사용자별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다목적 모빌리티 시트 시스템’을 선보였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 및 판단해 시트를 조절하는 ‘웰니스 서포트 모빌리티’, 유아시트 등을 편의를 위해 탈부착하게 하는 ‘차일드 케어 모빌리티’ 등 다양한 상황과 승객에 따라 시트를 조절해 실내 공간을 변형할 수 있는 맞춤형 기술을 탑재했다.

현대차·기아 제품통합개발담당 양희원 부사장은 “고객들은 더 다양하고 특별한 경험을 미래 모빌리티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며 “PBV 등 새로운 모빌리티 환경에서도 고객들에게 최고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도록 UX 개발에 더욱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