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이 낮은 국가일수록 코로나19 가짜뉴스를 사실로 믿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미영 KAIST 기초과학연구원(IBS) 교수는 30일 통계청이 발간한 ‘KOSTAT 통계플러스’ 봄호에 실은 ‘40개국 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19 인포데믹의 여파’ 보고서에서 이런 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인포데믹은 잘못된 정보와 부정확한 주장, 고의로 유포된 허위정보 등 가짜뉴스가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을 말한다.

소셜미디어는 ‘더 많은 사람이 연결될수록 세상이 나아진다’는 환상을 심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가짜 뉴스를 바탕으로 한 선전·선동이 횡행하고, 사람들은 극단으로 나뉘어 분노한다. 저자는 이를 ‘소셜 온난화’ 현상이라고 부른다. /게티이미지뱅크

차 교수는 “경제 부흥국에서는 인터넷 사용자의 16.7%만이 제시된 가짜뉴스를 진짜라고 믿었던 반면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33.3%가 가짜뉴스를 신뢰한다고 답했다”며 “국민소득이 낮을수록 인포데믹으로 인한 피해가 크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이는 차 교수가 이끄는 IBS 데이터 사이언스 그룹이 ‘루머를 앞선 팩트’ 캠페인으로 수집한 151개국 데이터 중 주요 40개국에 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다. 한국은 조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또 경제 수준이 낮은 국가의 인터넷 사용자일수록 온라인에서 코로나19에 관한 가짜뉴스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차 교수는 “경제적 수준이 높은 스웨덴과 핀란드에서는 가짜뉴스를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0%였던 반면 경제적 수준이 낮은 카메룬과 필리핀 등에서는 60%였다”며 “인터넷 사용률이 비슷하다면 국민소득이 낮은 국가의 사용자일수록 접하는 정보의 진위성과 질이 더 낮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