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1일 오후 경기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에서 열린 ‘2022년 노인 일자리 채용 한마당’에서 어르신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뉴스1
그래픽=조선디자인랩 권혜인

내년 노인 일자리는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해 100만개를 돌파한다. 노인 일자리 수당도 6년 만에 매달 2만~4만원씩 올리기로 했다. 베이비부머의 상징인 ‘58년 개띠’가 65세 대열에 들어서며 내년 대한민국 노인 인구(1000만8000명)가 1000만명을 돌파하는만큼 노인 지원 강화책을 내놓은 셈이다.

내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노인 일자리는 올해 88만3000개에서 내년 103만개로 14만7000개 늘어난다. 이 가운데 도로·하천변 쓰레기 줍기와 같은 ‘공익형’ 노인 일자리는 총 65만4000개로 4만6000개 늘고, 실버카페 근무나 지하철 택배와 같은 ‘민간형’ 노인 일자리와 어린이집 보육교사 보조 등과 같은 ‘사회서비스형’ 노인 일자리는 모두 37만6000개로 올해보다 10만1000개 는다.

공공형 노인 일자리가 그간 ‘노인 알바’ ‘억지 일자리’란 비판도 들어온만큼, 가능한 한 베이비붐 세대의 경험과 역량을 살릴 수 있는 사회서비스·민간형 중심으로 노인 일자리를 늘렸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실제로 공익형 일자리 비중은 올해 68.9%에서 내년 63.5%로 줄어들고, 민간·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31.1%에서 36.5%로 늘어난다. 추경호 부총리는 “시장형 사회 서비스나 민간과 함께하는 일자리로 노인 일자리 구조를 대폭 바꾼 게 과거 정부와는 다른 점”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 공익형 노인 일자리 수당은 현행 월 27만원에서 29만원으로 2만원 올리고, 사회서비스형은 59만4000원에서 63만4000원으로 4만원 올리기로 했다. 기초연금 인상분(매달 32만3000원33만4000원)까지 감안하면 노인 일자리 수당를 받는 노인은 기초연금과 함께 매달 62만~97만원 지원 효과가 나는 셈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경력이 풍부한 ‘파워 시니어’가 앞으로 대거 늘어나는만큼 이들을 위한 양질의 노인 일자리 늘리기에 보다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지은정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노인에 대한 직접 일자리 사업은 정부 지원금이 끊기면 곧장 종료돼 근본적인 노인 소득 보장 대책이 되기 어렵다”며 “비교적 쉽게 성과가 보여지는 일자리 숫자 확대보다는 노인들의 열악한 근로 환경 개선이나 질 좋은 일자리 창출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보다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