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

우리나라 국민은 은퇴 후 노후에 ‘최소 생활비’ 251만원이 필요하며, 여행·여가 활동까지 즐기기 위해선 ‘적정 생활비’ 약 370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 마련할 수 있는 금액은 적정 생활비의 57% 정도인 212만원으로 조사됐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이연주

26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올해 1월 3∼27일 전국 20∼79세 남녀 3000명을 조사해 ‘노후 준비 진단과 거주지 선택 조건’ 보고서를 공개했다. 노후 기본적 의식주 해결만을 위한 최소 생활비는 평균 월 251만원, 여행·여가 활동·손자녀 용돈 등에도 지출할 수 있는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원으로 조사됐다. 2018년과 비교하면 최소 생활비(184만원)가 67만원, 적정 생활비(263만원)가 106만원 늘었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들이 조달할 수 있는 노후 생활비는 평균 월 212만원뿐이었다. 노후 경제적 준비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은 ‘소득 부족’(57.1%)이 가장 컸고, ‘경제 불확실성·물가 상승’(48.2%), ‘예기치 못한 사고 발생 가능성’(41.3%)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자녀의 교육이나 결혼, 본인 결혼 등 ‘예정된 지출 부담’(37.5%), ‘은퇴 설계를 위한 재무 정보나 지식 부족’(22.3%) 등이 꼽혔다. 노후생활비를 조달하는 방법은 국민연금과 사학·군인·공무원연금, 개인형 IRP를 포함한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금융소득, 임대료 등 부동산소득, 가족 지원, 소일거리 등이었다.

은퇴 전 가구가 희망하는 은퇴 나이는 평균 65세였으나 실제 은퇴 나이는 55세로 10년 빨랐다.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 기간이 줄어든 상황에서 노후 경제적 준비를 ‘아직 시작하지 못한 가구’가 52.5%였고, 경제적 준비를 시작한 경우도 평균 45세로, 2018년 평균 44세에서 1년 늦춰졌다.

노후에 내가 살던 곳에서 계속 살고 싶다는 응답자가 59.6%로, 여성(62.1%)이 남성(57.7%)보다 이런 의지가 더 강했다. 아직 은퇴하지 않고 자녀를 둔 부부 가구가 노후 거주지의 첫 번째 요건으로 꼽은 것(중복 선택)은 의료시설(72.6%)이었다. 이어 쇼핑시설(53.1%), 공원 등 자연환경(51.9%), 교통(49.0%) 순이었다. ‘인근에 자녀가 사는 곳’(15%)을 선택한 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