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1 부산 장노년 일자리 한마당'을 찾은 장년층 어르신들이 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김동환 기자

2차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에 따라 경제 성장률이 하락하지만, 고용 정책 등이 개선될 경우 이 영향을 절반까지 축소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한국은행은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 연령에 진입하면서 미칠 경제적 영향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1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1955~1963년생으로 705만명 가량으로 작년 법적 은퇴연령(60세)에 모두 진입했다. 2차 베이비부머 세대는 1964~1974년생으로 954만명 가량이다. 올해부터 2034년까지 11년에 걸쳐 은퇴연령에 진입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60대 고용률이 작년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했을 때, 2차 베이비부머가 은퇴 연령에 진입한다면 11년간 경제 성장률이 연간 0.38%p(포인트) 가량 낮아졌다. 1차 베이비부머(0.33%p)에 비해 인구가 많아 하락폭도 더 컸다. 정책적으로 고용률을 뒷받침한다면 하락폭이 훨씬 줄어들었다. 과거 10년간 60세 이상 고용률 상승 추세를 적용해 계산하면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로 인한 경제 성장률 하락폭은 0.24%p로 줄었다. 2006년 일본의 고령자 고용안정법 개정 후 60대 남녀고용률 상승 추세를 적용할 경우 감소폭은 0.16%p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과거 일본은 재고용을 법제화하는 등 강력한 정책 대응으로 2000년대 중반 이후 60세 이상 고용률이 가파르게 늘었다.

보고서는 2차 베이비부머가 은퇴 후 계속 근로 의향이 더 강하다고 분석했다. 작년 5월 통계청이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55~79세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응답자의 비중이 2012년 59.2%에서 2023년 68.5%로 늘었다. 평균 근로 희망연령도 71.7세에서 73세로 올랐다. 이 외에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수준과 IT 활용 능력, 양호한 소득·자산 여건, 적극적인 사회·문화 활동도 2차 베이비부머의 특징이다.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로 인한 소비 제약 가능성은 1차 베이비부머보다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더 높고 보유자산도 많기 때문이다. 2023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가계 순자산이 1% 증가하는 경우 평균소비성향이 0.0538%p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는데, 보고서는 이를 바탕으로 2차 베이비부머의 평균 소비성향이 1차 베이비부머에 비해 1.3%p 높을 것으로 봤다.

이재호 한은 조사총괄팀 과장은 “2차 베이비부머의 양호한 경제·사회·문화적 특성에 효과적인 정책이 더해지면 이들의 은퇴가 성장 잠재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상당 폭 축소될 것”이라고 했다.

▶함께 보면 좋은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