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한전공대 설립 특별법이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 회의를 통과하면서 내년 3월 대선 전 개교가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한전공대 설립 비용을 분담하게 된 한전 자회사들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등 자회사 10곳에 출연금을 6억~30억원씩 총 216억원 분담케 한 데 이어 2~3차 출연금 4200억원 가운데 36%인 1512억원을 자회사들에 분담시킬 계획이다.

남동발전 등 발전 자회사 6곳은 지난해 30억원에 이어 올해 2차로 146억원, 내년 개교 후 3차로 64억원 등 총 240억원을 분담하게 된다.

하지만 석탄화력발전 위주의 발전 자회사 5곳은 정부의 탈석탄 정책으로 재정 상황이 날로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남동발전은 107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동서발전 817억원, 서부발전은 68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남부발전은 62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고, 중부발전은 액화천연가스(LNG) 가동률 증가와 LNG 가격 하락 덕분에 1004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그러나 중부발전의 부채가 9조3576억원에 이르는 등 이 발전 5사의 총부채는 33조2926억원에 이른다.

게다가 정부가 미세 먼지 저감을 위한 석탄 발전 감축을 추진하면서 이 발전사들의 재정 상황은 올해 더욱 열악해질 전망이다. 이 발전 5사는 올해 총 1조3000억원 규모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자구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발전 5사가 이사회에 보고한 올해 예산 운영 계획에 따르면, 올해 발전사별로 2000억~3000억원 규모의 당기순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발전사별 당기순손실 예상액은 남동발전이 35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부발전(2633억원), 남부발전(2498억원), 동서발전(2461억원), 서부발전(2308억원) 등의 순이었다.

한 발전 공기업 관계자는 “석탄발전 감축으로 날로 수익성이 나빠져 비상 경영 체제에 들어갔는데, 수익성 개선에 아무 도움이 안 되는 한전공대 설립 비용까지 부담해야 해 재정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