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됨에 따라, 문재인 정부 시절 적폐 취급을 받았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과거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기업을 대표하는 경제 단체인 전경련은 2016년 최순실 게이트 때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과정에서 총대를 멨다는 이유로 위상이 급격히 추락했다. 한때 639개사였던 회원사는 현재 450여 개로 줄어들었고, 전체 회비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는 4대 그룹이 모두 탈퇴했다. 200명에 달하던 임직원은 80명으로 과거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처럼 싱크탱크 기능을 강화한 ‘한국기업연합회’로 환골탈태를 계획했지만, 정부·여당의 전경련 해체 목소리에 밀려 주무 부처(산업통상자원부)의 정관 변경 신청조차 하지 못했다.
전경련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방미 경제사절단을 꾸리는 일부터 해외 순방 경제사절단, 청와대 신년회, 여당 주최 경제단체장 신년간담회 등에서 철저히 소외됐다. 청와대 대변인이 대놓고 “전경련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전경련 패싱’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재계 관련 모든 행사를 대한상의에서 주도하도록 했고, 이로 인해 전경련은 재계를 대표하는 경제 5단체 회동에서도 한국중견기업연합회에 밀려 빠지는 신세였다. 한 10대 그룹 임원은 “문재인 정부는 전경련에 해묵은 원한이라도 있는 것처럼 노골적으로 핍박하고 적폐 취급을 했다”고 말했다.
재계에서는 기업 자율을 강조하는 윤 후보자가 당선됨에 따라 전경련의 위상도 자연스레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혁신 성장을 이끌어 잠재성장률을 2배로 확대하겠다는 경제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국 투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대기업의 협조가 필요한 상황이기도 하다. 최준선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전경련은 대기업을 기반으로 탄탄하게 구축해 놓은 글로벌 네트워크가 큰 자산”이라며 “갈수록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대에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지 않는 것은 기업뿐 아니라 국가 차원에도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