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발표된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비서관 인사를 두고 ‘탈원전 폐기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인사’라는 평이 나온다. 최상목 경제수석 아래에서 원전 주무부처 산업통상자원부를 담당할 산업정책비서관뿐만 아니라 과학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를 관할하는 과학기술비서관까지 원전 전문가가 발탁됐기 때문이다. 원전 진흥과 안전에 동시에 방점을 둔 인사라는 해석이 나온다.
산업비서관에 임명된 강경성 산업부 에너지산업실장은 기술고시 29회 출신으로 원자력수출진흥팀장, 원전산업정책과장, 원전산업정책관을 거친 산업부 내 대표적인 원전 전문가로 꼽힌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무역투자실장, 산업정책실장 등 비(非)에너지 분야를 연이어 담당하다가 작년 8월 에너지산업실장을 맡아 에너지 분야로 복귀, 탈원전 정책 책임 논란에서도 자유롭다는 평을 듣는다.
과기비서관을 맡은 조성경 명지대 교수도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에너지공학 박사로 에너지위원회, 녹색위원회,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등에서 활동했고, 박근혜 정부 시절 고준위방사성폐기물 문제를 논의한 사용후핵연료공론화위원회 대변인을 지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원자력안전위원회 비상임위원을 역임했다.
두 비서관의 발탁을 두고 새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인 ‘탈원전 정책 폐기 및 원자력산업 생태계 강화’를 대통령이 직접 챙기려는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원자력 분야 한 교수는 “원전 관련 국정 과제는 여러 부처가 협력해야 하는 문제들”이라며 “부처 간 조율을 위해선 전문성이 필수적이고, 이런 측면에서 전문가들을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운영 허가 만료 원전의 계속 운전,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같은 난제가 많은 만큼 과기비서관까지 원전 전문가를 발탁했다는 것이다. 다만 에너지 정책 전문가로 꼽히는 조성경 교수의 과기비서관 발탁을 두고 “과학기술 분야 전체를 담당하기에는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일각에선 “수석급 과학기술 특보가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