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로 인해 국내 주요 생산시설이 마비되기 시작했다. 지난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가동률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데 이어 국내 최대 철강업체인 포스코의 선재·냉연 공장은 13일부터 가동을 중단했다. 철강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자동차·건설·가전·조선·기계 업종의 공장까지 연쇄적으로 멈출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파업으로 국내 산업계는 이미 조 단위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 7~12일 자동차·철강·석유화학·시멘트·타이어 업종에서 1조5868억원의 생산·출하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생산 차질을 빚은 자동차만 5400대에 달한다. 산업부는 이들 5개 업종을 포함한 전체 산업계의 피해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도 “13일까지 원자재 조달 차질, 생산 중단, 물류비 증가, 납품 지연, 선적 차질과 같은 각종 애로 사항이 160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서 화물연대 관련 물류 차질이 장기화될 경우 국민 경제와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며 “물류 정상화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지난 7일간 화물연대 조합원 총 44명을 체포하고 그중 2명을 구속했다고 13일 밝혔다. 남구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현장에서 이뤄진 불법 행위뿐 아니라 화물차주나 비연대 노조원에 대해 문자나 전화로 협박하는 행위 등 전반적인 불법 행위에 대해 엄정 사법 처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