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뭄바이호''가 수출화물을 싣고 부산신항에서 출항하고 있다. (SM상선 제공)

한국의 대중 수출은 2001년 중국이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해 세계 무역 질서에 편입되면서 폭증하기 시작했다. 2000년 한국의 전체 수출 1723억달러 중 10.7%였던 중국의 비율은 2005년 20%를 넘어선 뒤 2018년 26.8%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중국이 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무기로 우리 기업들의 생산 기지로 떠오르면서 전기·전자·자동차 부품, 석유화학 제품 등 원자재·중간재 수출이 늘어난 데 따른 결과다. 지난해에도 전체 수출액 6444억달러 중 4분의 1이 넘는 1630억달러가 대중 수출이었다. 2003년 이후 19년 연속 부동의 최대 수출 상대국이다.

중국의 급부상과 맞물려 대미 수출은 10% 초반으로 쪼그라들었다. 한국 수출에서 미국의 비율은 1980년대 말 35%를 웃돌고 2000년대 초반까지 20%선을 유지했다. EU(유럽연합) 수출도 2010년대 들어선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면서 대중 수출 비율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작년 25%를 웃돌았던 대중 수출 비율은 올 1~5월엔 23.4%까지 줄었다. 2009년 23.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국내 기업들이 베트남·인도로 생산 기지를 옮기기 시작한 가운데,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중국의 대도시 봉쇄, 공급망 차질 여파까지 겹친 데 따른 결과다.

산업계에서는 한국 수출의 중국 의존도가 과도한지, 한국이 세계 최대 시장을 포기하는 게 현실적인 대안인지에 대한 논란도 적지 않다.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실장은 “세계 경제가 블록화되면서 어차피 선택을 해야 할 시점이 왔다”며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 아시아·태평양 경제 블록이 부상하면 중국의 빈자리를 어느 정도 대체할 시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김수동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의존도를 줄인다는 정책 방향은 맞지만 생산 기지 이전에는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들 것”이라며 “중국을 자극하는 측면에 대한 대비도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