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강국 일본과 독일은 100년 기업이 각각 3만곳, 1만곳이 넘는다. 반면 한국에서 100년 이상 살아남은 기업은 두산, 동화약품, 신한은행, 경방 등 단 10곳뿐이다. 우리 중소기업계에선 “한국도 일본·독일처럼 제조 중소기업이 산업 기반이지만 기업인들이 대대로 가업을 이어가며 책임·혁신 경영을 하기 어려워 100년 기업이 나오기 힘든 구조”라며 “상속·증여 관련 규제를 최소화해 장수 기업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일본에는 100년 넘은 장수 기업이 총 3만3079사다. 미국은 1만2780사, 독일은 1만73사로 집계됐다. 한국의 경우 100년 기업은 앞서 언급한 10곳뿐이고,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산업화가 시작됐다는 점을 고려해 ‘60년 기업’으로 기준을 낮춰도 이 문턱을 넘는 곳은 569사(2018년 기준)에 불과했다. 이 기업들이 모두 40년 뒤까지 살아남는다고 가정하더라도 우리나라의 100년 기업은 600사가 채 되지 않는 셈이다.
중소기업계에서는 100년 이상 된 기업은 오랜 기간 축적해온 노하우를 계승·발전시키면서 기업 경쟁력이 강화됐을 뿐만 아니라 고용 창출, 신산업 발굴, 지역사회 기여와 같은 다양한 순기능을 한다고 밝힌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한국, 일본, 독일과 같이 제조업이 산업 기반인 나라들의 경우 특히 장수 기업 육성이 중요하다”며 “오랜 기간 버텨오며 산업의 뿌리 역할을 한 기업들이 또 다른 기업이나 산업이 발전하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도 허용 안 되는 경우만 명확하게 규정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과감하게 규제를 풀어서 100년, 200년 기업이 나올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