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사용을 제한하는 미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배터리 광물 요건 시행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수산화리튬, 코발트, 천연 흑연 같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한국의 대중 수입 의존도가 지난해 오히려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의 전체 수입액 36억7639만달러(약 4조5400억원) 중 중국 수입액은 32억3173만달러로 87.9%를 차지했다. 2018년 64.9%였던 수산화리튬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2019년 74.4%, 2020년 81.2%, 2021년 83.8%에 이어 지난해까지 해마다 치솟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양극재용 코발트의 중국 의존도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전체 코발트 수입액 2억4620만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은 72.8%(1억8000만달러)에 육박한다. 전년 대비 8.8%포인트 늘었다. 코발트의 중국 수입 비율은 2018년 53.1%에서 2019년 56.3%, 2020년 83.3%까지 늘었다가 2021년 64%로 주춤했지만 지난해 다시 의존도가 높아진 것이다. 천연 흑연 역시 전체 수입액 1억3000만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1억2000만달러로, 94%에 달했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서도 공급망 다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미국 정부는 오는 3월부터 IRA의 핵심 광물 요건 규정을 시행한다. 북미나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 광물을 40% 이상 사용한 배터리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규정이다. 2027년에는 이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아진다. 한국무역협회는 “해외 자원 개발 지원 사업을 복구하고 자원 확보를 위한 다자간 협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