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연신내에서 24시간 고깃집을 운영하던 전모(39)씨는 최근 영업시간을 2시간 단축해 오전 8~10시 문을 닫는다. 구인난으로 새벽~아침 시간대 직원 구하기가 힘든 데다 코로나 팬데믹 후 심야 시간에 식당을 찾는 손님도 줄었기 때문이다. 전씨는 새벽 시간대 추가 영업 단축을 고민하고 있다. 늘어난 인건비, 전기·가스료 부담 때문이다. 전씨는 “가게가 ‘24시간 고깃집’으로 알려져 있어 영업시간을 단축할 때 고민이 컸다”며 “하지만 이달부터 택시비까지 오르며 새벽 손님이 더 없을 것 같아 추가 단축도 고민 중”이라고 했다.
원자재 값, 인건비, 난방·전기료 같은 각종 비용이 치솟자 ‘24시간’ ‘연중무휴’ 간판을 단 식당들이 사라지고 있다. 오후 2~3시를 ‘브레이크 타임’으로 정해 낮 시간대 문을 닫는 상점도 늘었다. 자영업자들은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던 음주 문화가 코로나를 계기로 사라지고 난방비·전기 요금마저 천정부지로 치솟는 상황에서 폐업하지 않으려면 영업시간을 단축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24시간 영업’ ‘연중무휴’ 사라져… 편의점 24시 점포도 감소 추세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중식당도 24시 영업을 해오다가 작년 10월부터 오후 9시에 가게 문을 닫는다. 이 식당 관계자는 “영업시간이 길수록 적자라 일찍 문을 닫는 것”이라고 했다. 부산 강서구의 한 24시간 콩나물국밥집도 지난달부터 오전 5시~오후 8시까지만 영업하고 있다. ‘연중무휴 영업’의 상징이던 편의점들도 영업을 단축하고 있다. GS25의 경우 24시간제로 운영하지 않는 가맹점 비율이 2018년 13.6%에서 지난해 19%로 늘었다.
24시간 영업점이 아닌 일반 식당의 경우 휴일을 늘리거나 영업 중 브레이크 타임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서울 강남구 한 삼계탕집은 작년 9월부터 매우 월요일엔 문을 닫는다. 업주 이현수씨는 “주방에서 LPG를 연료로 쓰는데 작년 12월 비용이 1년 전의 2배인 100만원 정도가 나왔고 한 달 전기료마저 100만원이 넘는다”며 “매출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고정비는 폭등하고 고금리 여파에 건물 임차료까지 뛰었다”고 했다. 서울 영등포구의 한 대중목욕탕도 매일 영업 종료 시간을 오후 8시에서 오후 5시 30분으로 앞당겼다. 경기 포천시 한 산업 단지 인근 한식집은 이른 오후에 문을 닫는다. 산업 단지 공장들의 가동률이 하락하면서 직원들이 야근을 하지 않아 저녁 장사가 안되기 때문이다.
◇손님들도 “서빙은 늦고, 추운데 난방도 안 해줘” 불평
영업시간이 단축된 줄 모르고 늦은 시간 식당이나 카페를 찾은 손님들도 불편을 겪고 있다. 또 구인난으로 식당마다 직원이 부족해 서비스의 질이 떨어졌다거나, 난방을 제대로 안 한다는 불만도 잇따른다. 한 중소기업 대표 김모(69)씨는 “강남에 자주 찾던 갈비집을 최근에 방문했는데 ‘직원이 부족하다’며 2층 한 층 영업을 통째로 하지 않았고, 음식도 전보다 늦게 나왔다”며 “실내 온도를 낮추는지 식사하며 춥다고 느껴지는 식당도 있다”고 했다.
소상공인들은 고물가 때문에 매출은 줄고 있는데 인건비와 전기 요금·난방비 등 각종 공과금이 줄줄이 올라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한다. 한국가스공사와 한국도시가스협회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 업무 난방용 가스 도매 요금은 MJ(메가줄)당 34.69원으로, 1년 전인 2021년 12월(22.01원) 대비 57.6% 급등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 2일 공개한 긴급 실태 조사에서도 ‘사업장 운영에 있어 난방 비용이 부담된다’고 답한 소상공인이 99%에 달했다. 1년 전과 비교한 매출 변동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5.1%가 ‘감소했다’고 했고, 96.9%가 ‘같은 기간 난방비는 증가했다’고 답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경기 악화로 매출은 하락했는데, 난방비는 상승하면서 어려움이 크게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