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는 모습. ‘사용후핵연료’는 현재 각 원전에 마련한 임시 저장시설에 보관되고 있다. 2030년 한빛원전을 시작으로 수조가 가득 찬다./한국수력원자력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는 국내 원전의 수조가 7년 뒤면 꽉 찬다. 원전을 계속 운전하기 위해선 부지 내 저장시설 건설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포화전망 설명회를 갖고, 애초 2031년으로 예상됐던 전남 영광 한빛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시점이 2030년으로 1년 빨라졌다고 밝혔다. 경북 울진의 한울원전도 2032년에서 2031년으로, 경북 경주 신월성원전은 2044년에서 2042년으로 앞당겨진다. 반면 2031년으로 포화시점을 산정했던 부산 기장 고리원전은 조밀 저장대를 설치하기로 하면서 1년 늦은 2032년으로 미뤄졌다.

계속운전과 신규 원전 건설, 가동률 상향을 가정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지난달 확정되면서 사용후핵연료가 애초 63만5329다발보다 15만8626다발 늘어난 79만4000다발로 늘어난 데 따른 결과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당장 7년 뒤에 원전을 계속 가동하려면 우선 부지 내 건식저장시설이라도 새로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건식저장시설 건설에는 7년가량 건설 기간이 필요해 올해 공사를 시작하지 못할 경우 원전이 멈출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승렬 원전산업정책국장은 “저장시설 포화로 인하여 한시적으로 원전 내 건식저장시설 건설이 불가피하다”며 “주민들과 소통을 지속하고 설계 방향이 구체화하면 설명회·공청회 등을 통해 대규모 의견 청취를 추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