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에 있는 신한울 1호기./뉴스1

작년 5월 ‘탈원전 정책 폐기’를 국정과제로 내건 현 정부가 출범한 지 1년 만에 원전 생태계가 정상궤도에 진입했다. 지난 정부 탈원전 정책에 따라 공사가 중단됐던 신한울 3·4호기의 주기기 제작과 2조원 규모 보조기기 발주가 시작되면서 일감 부족에 시달리던 중소·중견 원전업체들은 숨통이 트이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제작 착수식’과 ‘원전 생태계 간담회’를 열고, 원전 생태계 복원을 넘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지원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 3월 2조9000억원 규모 계약을 체결한 신한울 3·4호기 주기기(원자로·증기발생기·터빈발전기 등 핵심기기) 제작을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한다”며 “이달부터는 2조원 규모 보조기기(펌프·배관·밸브·케이블 등) 발주도 시작한다”고 밝혔다. 한수원과 두산은 통상 10%인 1차년도 공정률을 15%로 높이고, 공정률에 따른 자금 집행도 상반기에 80%를 마칠 계획이다. 계약체결까지 기간도 기존 21개월에서 12개월로 줄이고, 국내 입찰도 과거의 4배가 넘는 1조3000억원어치로 확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또 SMR(소형모듈원전)과 수출시장, 융합이라는 세 가지 핵심방향을 중심으로 앞으로 5년간 2조원을 기술 개발에 투자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탈원전 기간 이탈을 만회하기 위해 대학·대학원 중심으로 고급인력을 키우고, 중소·중견기업 위주로 지원책을 추진해 2030년까지 전문인력을 4500명 양성한다고도 밝혔다.

이창양 장관은 “세계 주요국들이 복합적인 에너지 위기를 돌파할 대안의 하나로 원전에 집중하고 있고, SMR 등 미래 원전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해외원전 수주 성사와 기자재 수출 지원 등을 통해 일감을 창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기술개발·인력양성을 포함한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원전 정책과 지원으로 기업을 뒷받침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