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7일 저녁(현지시간)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콘서트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마련된 머치(굿즈) 부스에서 팬들이 굿즈를 사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BTS가 라스베이거스 얼리전트 스타디움에서 투어 공연을 개최하는 2주 동안 라스베이거스는 콘서트와 도시를 연결한 ' 더 시티(THE CITY)' 프로젝트가 열렸다./하이브 제공

한류가 전세계로 확산하면서 이에 따른 생산 유발 효과가 37조원에 달하고, 16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5년간(2017~2021년) 화장품·음악·방송 등 한류 밀접품목(이하 ‘한류 품목’)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생산유발액 기준 총 37.0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국은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톱 10에 진입한 BTS, 2021년 방영되어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오징어게임 같은 문화 상품에 힘입어 글로벌 한류 열풍을 확산 시켰고,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은 급신장했다. 미 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80개국중 세계 31위에서 작년 85개국 중 7위로 뛰어올랐다.

이에 따라 음악·방송 등의 문화콘텐츠 수출 확대, 화장품·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5년간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문화콘텐츠 15.7%(음악 11.9%, 방송 11.8% 등), 화장품 16.6%, 가공식품 7.8% 등이다.

한경연이 통계모형과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해 추산한 결과, 한류 확산이 최근 5년 동안 소비재·문화콘텐츠 수출 신장을 통해 유발한 국내 생산액은 총 37조원에 달했다. 이중, 30.5조원은 소비재 수출 증진, 6.5조원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진을 통해 발생했다.

또 한류가 창출한 부가가치액은 총 13.2조원(소비재 수출 증가로 9.9조원,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3.3조원)이다. 일자리도 창출했다. 한류의 취업유발인원은 16.0만명으로, 이중 11.6만명은 소비재 수출 증가로, 4.4만명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유발됐다. 16만명은 지난해 국내 총 취업자 수 증가 폭(81.6만명)의 5분의 1(19.6%)에 해당하는 수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류는 문화콘텐츠 수출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한국 제품 선호도를 높임으로써 소비재 수출에도 기여하는 등 그 경제적 가치가 상당하다”며,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하여,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