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우리나라 점유율이 중국한테도 밀리며 최하위라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3일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형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일본의 3분의 1, 중국의 2분의 1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메모리(저장용) 반도체 시장에서는 세계 1위다. 비메모리 반도체는 TV·세탁기·냉장고·자동차 등 거의 모든 기기에 들어가는 부품일 뿐 아니라 자율주행차·로봇·드론·AI(인공지능) 등 미래 기술의 핵심이기도 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는 총 593조원이다. 미국이 323조원으로 54.5%를 차지해 압도적 1위에 올랐고, 유럽(70조원·11.8%), 대만(61조원·10.3%), 일본(55조원·9.2%), 중국(39조원·6.5%) 순이었다. 한국은 20조원, 점유율 3.3%로 글로벌 반도체 가치 사슬 참여 주요국 중 최하위였다.
지난해 한국 비메모리 반도체 매출 총액 151억달러(약 20조원) 가운데 삼성전자가 112억달러(73.9%)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LX세미콘 17억달러(11.2%), SK하이닉스 8억9000만달러(5.9%)였다.
보고서는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존재감이 미미하다”며 “수십 년간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산업 지원 정책에도 판로 확보의 지난함과 높은 세계시장의 벽을 절감한 결과”라고 밝혔다.
실제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국가별 경쟁 우위가 명확하다. 미국은 집적회로와 함께 PC, 스마트폰이 탄생한 국가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유·무선 통신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PGA) 등 대부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유럽은 자동차 및 산업용 로봇 등에 탑재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및 광학·비광학 센서류에 강점이 있다. 일본은 자동차, 정밀기계 등 특정 수요를 대상으로 한 MCU, 이산형 반도체 등에서 경쟁 우위를 보유하고 있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반도체 전쟁의 핵심으로 떠오른 시스템 반도체의 복합성을 인지하고 국가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