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신관유리공업 서정섭(왼쪽) 회장과 아들 서한석 대표가 본지와 인터뷰하면서 의약품 유리 용기 '바이알'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 이 업체가 생산하는 바이알은 연간 2억4000만개로,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등 국내 대표 제약사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태경 기자

지난 9월 20일, 인천시 서구의 유리 용기 제조사 동신관유리공업 공장. 서정섭(86) 회장이 수직으로 꽂혀 있는 1.5m 길이 원통형 유리가 일정 간격으로 절단되는 공정을 살피고 있었다. 내부 온도가 40도에 육박하는 이 공장에서는 의약품 유리 용기 ‘바이알’이 연간 2억4000만개씩 생산된다. 용량 2ml부터 200ml까지 고객사 주문에 맞게 제조된 바이알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국내 대표 제약사들로 보내진다. 올해로 창립 만 54년을 맞은 동신관유리공업은 국내 바이알 생산량의 35%를 차지하는 이 업계 1위 기업(지난해 매출액 274억원)이다.

“사장도 기술자가 돼야 한다”. 빨갛게 달궈진 유리에 입으로 바람을 불어 모양을 잡았던 1960년대 한국에서 유리 용기 사업에 뛰어든 서정섭 회장이 지켜온 철학이다. 경희대 법학과 졸업 후 제약 회사를 다니던 서 회장은 약품 대량생산을 위해 일정한 규격의 유리 용기가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된 뒤, 1969년 전 재산을 털어 구입한 일본산 앰풀 제조기를 기반으로 회사를 설립했다. 하지만 전문 노하우가 없던 탓에 불량품을 만들어내기 일쑤였다. 사업 초기에는 직원 3명의 월급마저 주기 어려웠다. 서 회장은 “2년 동안 실패를 거듭해 규격 앰풀을 만들어냈다”며 “당시 유한양행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약품 제조기가 있었는데, 이 안에 우리가 만든 앰풀을 넣고 가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했다. 국내 약품 생산 자동화의 첫 단추를 끼운 셈이다.

동신관유리공업은 1987년 국내 최초로 원 포인트 컷 앰풀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그 전만 해도 유리로 밀봉된 앰풀을 열기 위해선 한쪽을 가위나 칼로 잘라야 했는데, 이 과정에서 유리 가루가 앰풀 속에 들어가는 게 문제였다. 하지만 원 포인트 컷 앰풀은 용기에 작은 틈을 만들어 손으로도 쉽게 부러뜨릴 수 있게 해 가루 발생을 크게 줄였다. 당시 서 회장은 일본 기업들을 찾아다니며 필요한 기술을 배웠고, 그 결과 한국을 일본에 이어 두 번째 원 포인트 컷 앰풀 제조국으로 만들었다. 서 회장은 “원 포인트 컷 앰풀이 유럽 의학 잡지에 막 소개되기 시작할 때 우리는 국내에서 이를 납품하고 있었다”고 했다. 이후 백신, 항암제를 담는 바이알까지 만들었고, 198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 미국 등 해외로 바이알을 수출하기 시작했다.

서 회장은 1998년 해외 사업이 커지자 아들인 서한석(54) 대표를 회사로 불러들였다. 서 대표가 한국외대에서 일본어와 경영학을 전공한 데다, 당시 선경물산(현 SK상사)에서 해외 영업을 담당해 회사의 글로벌 진출을 이끌 적임자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서 대표 합류 후 동신관유리공업은 베트남에 현지 법인과 공장을 세우는 등 해외 사업을 계속 키워나갔다. 지난해 수출액은 290만달러(약 38억원)로 전체 매출의 약 14%다.

서 대표는 “동신관유리공업이 54년간 유리 용기 제조에 전념하면서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건 기술 투자를 1순위로 뒀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불순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팅 바이알’을 출시하는 등 기술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