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물질이 검출된 중국 직구 제품들./뉴스1

중국발 직구 제품이 유해성 검사를 제대로 받지 않고 수입되는 ‘안전 사각지대’가 되면서 각국 정부가 대응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뿐만 아니라 소비자단체와 기업, 기업들이 속한 협회까지 나서 중국산 유해 제품을 찾아내고 이를 알리는 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영국 소비자단체 위치(Which?)는 지난 2월 중국 온라인 쇼핑몰인 틱톡숍과 테무에서 전기난로 제품 8개를 구입해 실험했는데 이 중 6개가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했다. 이 단체는 “사용 중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실험 결과와 함께 문제 제품 사진에 ‘사지 마라’는 표지를 달아 공개했다. 일본국민소비생활센터(NCAC)는 작년 12월 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판매하는 이른바 ‘점 빼기 크림’을 사용했다가 피부가 괴사하는 사례를 포착하고 조사를 벌인 뒤 홈페이지 등에 “사용을 중지하라”고 알렸다. 미국의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매달 ‘유해 중국 제품 목록’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중국 이커머스 공습에 직접적인 피해를 보는 기업들도 중국 유해 제품 모니터링에 나섰다. 레고, 마텔 등 글로벌 완구업체들을 회원사로 둔 유럽완구산업협회(TIE)는 중국산 저가 장난감이 시장을 잠식하자, 지난 2월 테무에서 장난감 19개를 구입해 조사했다. 이 중 18개가 유럽의 장난감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TIE는 “중국 장난감을 갖고 놀다가 베이거나 질식할 수 있다”며 “일부 제품에선 기준치 대비 11배 넘는 붕소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화장품과 가정용 미용 기기를 제조·판매하는 국내 기업 에이피알은 최근 외부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가품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우리 제품을 따라 만든 가품이 국내에 유통돼 문제가 생기면 회사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어서 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단체나 기업의 유해 제품 모니터링은 소비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 동시에 온라인 플랫폼의 자정 노력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본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영국, 독일, 일본처럼 소비자단체가 먼저 해외 직구 제품의 유해성을 발표하고, 정부가 규제하는 게 순서상 맞는다”고 했다. BC카드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제품에서 발암 물질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잇따르면서 지난달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매출은 3월 대비 40.2%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