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 풍력발전 단지의 모습. /대우건설

31일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2030년 우리나라 발전량에서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등을 포함한 무탄소에너지(Carbon Free Energy) 비율은 52.9%로 절반을 웃돌게 된다. 문재인 정부 당시인 2020년 발표한 9차 전기본에서 원전·신재생·양수발전을 합한 2030년 전망치 46.5%보다 6.4%포인트 높은 수치다.

203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늘어나는 태양광·풍력 설비용량은 2022년(23GW)의 3배인 72GW에 이른다. 지난해 4월 정부가 발표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기본계획’에서 확대된 발전 부문 감축 목표를 충족하고, 작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약속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3배 확대 목표도 지키는 규모다. 이날 정동욱 전기본 총괄위원장은 “탄소 중립이라는 명제 아래 무탄소 전원(電源)을 최대한 반영했다”고 말했다.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에너지원별 비중이 지난해 확정한 10차 계획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신재생 발전량은 이전보다 더 늘어나게 된다.

그래픽=이철원

한편, 11차 전기본의 최종 계획 연도인 2038년 우리나라 발전량에서 무탄소에너지 비율은 70.2%에 이르게 된다. 데이터센터 신설, 전기화 확산 등에 따라 전력 수요 전망이 급증하는 가운데 대용량 발전원인 원전이 잇따라 건설되면서 무탄소에너지 비율을 크게 늘릴 수 있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재생에너지는 더 빠르게 확대된다. 2038년 태양광·풍력 설비 용량은 지난해(26.1GW)의 4배를 웃도는 115.5GW, 수력·바이오 등을 포함한 전체 재생에너지 규모는 119.5GW로 늘어난다. 이에 따라 10차 전기본에서 해마다 5.3GW씩 늘리기로 했던 재생에너지 설비 규모는 연간 6GW로 커진다.

총괄위원회에 참여한 조홍종 단국대 교수는 “반도체 등 국내 주력 산업을 유지할 충분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발전 비중을 결정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