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상하이 '미니 동대문' - 중국 상하이에 있는 이랜드의 생산 공장. 이랜드는 서울 동대문의 원·부자재를 활용해 10시간 안에 제품 생산과 온라인 게시용 사진 촬영까지 마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매일 생산된 제품은 로봇 자동화 스마트 물류를 통해 전국 핵심 매장과 소비자에게 이틀 내 도착한다. /이랜드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 이랜드 스피드 오피스. 이곳에선 쉴 새 없이 재봉틀이 돌아간다. 패션 업계는 통상 6개월에서 1년 뒤에 팔릴 상품을 기획하고 대규모로 생산하지만, 이곳에선 당장 이틀 뒤 매장에 진열될 제품을 만들고 있다. 30~200장 정도 소규모 물량을 2일 만에 생산해 매장에 진열한 후 소비자의 반응을 보고, 그로부터 5일 안에 베트남 공장에서 대규모 생산에 돌입하는 이른바 ‘2일 5일’ 시스템이다. 1960년대부터 디자인, 생산, 판매까지 ‘자기 완결적 시스템’을 갖춘 동대문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최근 이랜드가 이 같은 ‘동대문 시스템’을 중국에 이식해 중국 시장을 직접 공략하고 있다. 중국 상하이 한복판에 동대문 원·부자재로 채운 ‘미니 동대문’을 만들고 중국 소비자를 유혹하는 제품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랜드는 한국의 2일 5일 시스템을 진화시켜 중국에서 ‘10시간 7시간’ 전략을 수립했다. 지난 3월부터 생산 및 온라인몰 게시까지 10시간, 그로부터 7시간 내 상하이 매장에 전시하는 ‘초스피드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다.

그래픽=이진영

◇이랜드, 동대문 시스템으로 中서 승부

이랜드의 2일 5일 시스템은 2022년 시작됐다. 국내 생산 업체 두 곳과 파트너십을 맺고 생산 오피스를 만드는 게 시작이었다. 상품을 소량 생산해 스파오 강남, 영등포, 홍대, 명동 등에 전시해 고객 반응을 빠르게 확인한다. 이를 통해 어떤 제품이 얼마나 판매될지 예측하고 생산 계획을 짜는 방식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주말 이틀간 고객 구매 패턴을 분석하면 해당 상품이 어느 정도 판매될지 예상할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도전하고 있는 무재고 비즈니스를 위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2일 5일 시스템을 중국에 이식할 수 있었던 건, 이랜드가 2012년 중국 정부에서 50년 사용 조건으로 매입한 상하이 땅에 지난해 말 산업단지(E-이노베이션 밸리)를 준공했기 때문이다. 이랜드는 2주에 한 번씩 동대문에서 원·부자재를 항공 직송으로 중국 상하이 산업단지로 보낸다. 이렇게 보내진 동대문의 원·부자재는 산업단지 내 이랜드 상하이 사무실에 전시된다. 이랜드가 ‘미니 동대문’이라고 부르는 공간이다.

이랜드는 이어 산업단지 내 공장에서 동대문 원·부자재로 소량 의류를 제작한다. 의류를 제작하고 촬영해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데까지 10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다. 그로부터 7시간 이내에 상하이 E-이노베이션 밸리 인근의 매장에 제품이 전시된다. 이랜드 관계자는 “도보로 3분 이내에 사무실, 공장, 스튜디오, 물류 시스템이 몰려 있기 때문에 초스피드 공정이 가능하다”며 “고객 니즈와 트렌드를 바로 확인해 생산에 적용함으로써 재고를 감축하고 매출과 수익을 동시에 성장시킨다는 점에서 동대문의 2일 5일 시스템과 중국 10시간 7시간 시스템이 같다”고 말했다.

작년 말 준공한 중국 상하이 이랜드 E-이노베이션 밸리의 모습. /이랜드

◇“동대문 품질, 트렌드 경쟁력 있다”

이랜드가 동대문 방식을 중국에 이식한 건 동대문 시스템이 경쟁력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랜드 관계자는 “중국 패션 시장이 예전보다 성장한 건 분명하지만, 여전히 동대문의 원·부자재는 트렌드와 품질에서 앞서 있어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랜드는 동대문 시스템을 통해 중국에서 매주 20개 스타일의 의류 1만장을 생산해 소비자 반응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한국의 2일 5일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10시간 7시간 시스템도 소비자 반응이 좋으면 곧장 대규모 생산으로 이어진다. 이랜드 관계자는 “중국에서 팔고 있는 여성복 브랜드 이랜드의 스웨터, 셔츠, 원피스와 아동복 브랜드 포인포, 이키즈의 티셔츠, 맨투맨을 생산한다”며 “동대문 시스템으로 중국 고객들과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랜드는 작년 중국에서 1조3166억원 매출을 기록하는 등 중국에서 경쟁력을 갖춘 보기 드문 국내 기업으로 꼽힌다. 이랜드는 올해 1조6250억원, 내년 2조원 이상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라면 내년에는 이랜드차이나 매출이 이랜드한국 매출을 넘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