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28일 수도권을 중심으로 기록적인 폭설이 쏟아진 가운데, 세계 최고 수준으로 손꼽히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비행기가 대거 결항·지연되는 ‘항공대란’이 벌어졌다. 특히 승객이 비행기에 탑승하고도 이륙이 늦어져 기내에서 2~3시간 이상 대기하는 경우가 속출했고, 승객들 사이에서 “도대체 언제 뜨는 거냐” “이럴 거면 비행기엔 왜 태웠느냐” 같은 불만이 터져 나왔다.
◇'디아이싱’이 뭐길래
항공 업계에선 이번 대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디아이싱(De-Icing)’을 꼽는다. 눈이 많이 오면 항공기는 반드시 디아이싱 과정을 거친다. 고온의 특수 용액을 강한 압력으로 항공기에 분사해 기체 표면에 쌓인 눈과 서리, 얼음을 제거하는 일이다. 항공기에 눈이나 서리가 더 쌓이지 못하게 막는 ‘안티아이싱’(Anti-Icing)까지 한다. 날개에 눈이 얼어붙어 있으면 항공기가 받는 공기 흐름이 달라져 비행에 필요한 양력을 제대로 얻지 못해 이륙이 어려워지고 최악의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디아이싱은 아무 곳에서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용액을 배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필요한데 인천공항에선 공간 마련에 제약이 따른다. 이번 폭설로 항공기 디아이싱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했는데, 디아이싱 작업을 처리할 공간과 장비가 충분하지 않아 대란이 벌어진 것이다. 디아이싱을 못한 항공기가 속출하고, 디아이싱 대기 항공기가 늘면서 연쇄적인 이륙 지연이 발생한 식이었다.
물론 최대 18.5㎝에 달하는 눈이 쌓인 폭설로 활주로에 쌓인 눈을 치우는 데 시간이 걸렸고, 다수 비행기가 제때 이륙하지 못하면서 에어브리지(게이트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이동식 통로) 등이 부족해졌다. 하지만 이틀간 1000대 가까운 항공기가 결항·지연되고 승객이 기내에서 무한 대기하는 상황이 벌어진 데는 디아이싱 작업 지연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디아이싱은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이뤄진다. 디아이싱과 안티아이싱 효과가 길어야 1~2시간이기 때문이다. 승객을 태우지 않은 상황에서 디아이싱을 하면 정작 이륙할 때 효과가 떨어져 버릴 수 있다.
◇디아이싱 장비 31대뿐
디아이싱은 항공사와 계약을 맺고 지상에서 항공기를 지원하는 업체인 지상 조업사에서 담당한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이 자회사 형태로 둔 지상 조업사를 포함해 인천공항에 총 다섯 업체가 있다. 이들이 보유한 디아이싱 장비는 총 31대. 보통 장비 점검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비행기 1대 당 장비 2대가 투입되고, 작업 시간은 15분 정도 걸린다.
일반적인 상황이면 대응이 가능했겠지만, 이번 폭설은 습기를 많이 머금은 ‘습설(젖은 눈)’이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눈에 수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동체에 흡착됐고 이 때문에 한 대당 디아이싱 작업이 평소보다 오래 걸렸다”고 했다. 보통 15분 정도 걸리는 작업이 40분 정도로 길어졌다는 설명이다.
디아이싱 장소가 부족하고 한 번에 많은 항공기가 몰리며 이동 통로도 혼잡해져 더욱 시간 지체가 발생했다고 한다. 디아이싱 작업을 마치고도 활주로로 나가지 못한 항공기가 발생할 정도였다. 항공 업계에선 “공항이 제대로 이동로를 통제하지 못해 비행기끼리 동선이 엉키며 혼선이 벌어진 영향도 이번 사태에 영향을 줬다”는 지적이 나온다.
디아이싱 전용 장비는 크기에 따라 대당 5억~12억원씩 한다. 지상조업사 측은 “이례적인 폭설에 대비해 많이 늘리기는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한 항공 업계 관계자는 “기상이변으로 잦아질 폭설에 대비해 공항과 항공사, 당국이 함께 장비를 늘릴 방안을 마련하고, 항공기를 디아이싱 장소로 옮길 동선을 미리 짜놓는 등 대비를 더 철저히 해야 한다”고 했다.
☞디아이싱(De-Icing)
항공기 표면에 붙은 얼음이나 눈을 특수 장비와 용액을 이용해 제거한 뒤 일정 시간 동안 다시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작업. 비행기는 날개 위아래를 흐르는 공기의 압력 차이로 발생하는 양력으로 비행한다. 그런데 날개에 얼음이 맺히면 압력 분포가 달라져 정상적인 양력을 얻기 힘들고 이륙이 어려워지는 등 심각한 비행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