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년만에 선포된 비상계엄 사태로 주요 기업들은 일제히 긴급 대응에 착수했다. ‘트럼프 2기’ 리스크에다 비상계엄으로 인한 탄핵 정국까지 예상되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모두 커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민주노총까지 무기한 파업을 선언하며 산업 현장에 위기감이 돌고 있다.
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날 오전 그룹 수뇌부가 모인 가운데 계엄 관련 여파를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부서 임직원들은 전날 계엄 발표 이후 긴급히 회사로 재출근해 밤새 시장과 상황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SK도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부회장) 주재로 오전 10시 긴급 경영진 회의를 소집했다. 각 사 최고경영자(CEO)와 수펙스협의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계엄 사태 관련 영향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와 LG 역시 주요 간부들이 비상 대책 회의를 열고 향후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한화그룹은 임원들이 비상대기한 가운데 계엄의 법적 효과와 향후 여파 등을 집중 분석했고, 이날도 긴급 회의를 여는 것으로 전해졌다. HD현대는 4일 오전 7시30분에 권오갑 회장 주재로 긴급 사장단 회의를 가졌다. 권 회장은 “국내외 상황이 긴박하게 움직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 사 사장들은 비상경영 상황에 준하는 인식을 가져야 하며, 특히 환율 등 재무리스크를 집중 점검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KT 역시 주요 통신시설 방호태세를 점검하고, 통신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등 비상대기 조치에 들어갔다.
특히 기업들은 환율, 증시 변동이 시장과 사업에 미칠 영향 분석을 비롯해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해외 거래선과 투자자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등 소통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태로 반도체 등 전략기술 세액공제 일몰 연장, 상속세 인하 등 산업계가 시급하게 요구해왔던 각종 지원 법안들의 논의도 국회서 ‘올스톱’ 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노총이 이날 오전 ‘윤석열 정권 퇴진시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히면서 산업 현장의 위기감은 더 커지고 있다. 민노총은 “총파업 지침에 따라 현장을 멈춘다”고 선언했고, 서울 광화문광장과 각 지역 거점에 집결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산업 현장이 멈출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며 분주히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