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자신이 갖고 있는 ㈜한화 지분 22.65% 중 절반 가까운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하기로 했다. 그룹 방산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3조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가 경영권 승계의 일환이라고 보는 시각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한화그룹은 설명했다. 특히 이번 증여로 김동관 부회장은 사실상 그룹 지주사 역할을 하는 ㈜한화의 개인 최대 주주가 됐다. 그룹 관계자는 “창업주 3세로의 승계를 마무리한다는 취지가 담겼다”고 했다.

31일 ㈜한화는 김승연 회장이 ㈜한화 지분을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공시했다. 현재 한화그룹은 ㈜한화가 지주회사 역할을 하며 주요 계열사를 지배한다. ㈜한화는 원래 김승연 회장(22.65%)과 세 아들(32.35%), 그리고 세 아들이 100% 소유한 한화에너지(22.16%)가 지분을 대부분 갖고 있었다.

그래픽=백형선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가 보유한 ㈜한화 지분까지 합하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42.67%로 늘게 됐다.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김동관 부회장의 경우 20.85%에 달하게 된다. 김승연 회장의 ㈜한화 지분은 절반으로 줄지만 그는 증여 후에도 그룹 회장직 등을 계속 맡으며 경험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회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김승연 회장이 지분 증여를 발표한 것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방산 사업 투자에 장기적으로 필요하다”며 발표한 유상증자 계획과 관련이 있다. 한화에어로는 유상증자 발표 전인 지난 2월 한화에너지와 그 자회사인 한화임팩트 등이 갖고 있는 한화오션 지분 7.3%를 약 1조3000억원에 인수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한쪽에선 투자 자금을 마련하겠다고 유상증자에 나서면서, 다른 한쪽으론 김 회장의 세 아들이 보유한 한화에너지 측에 현금을 몰아줬다”며 이를 승계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했다. 한화에너지가 확보한 현금이 장기적으로 김 회장이 갖고 있는 ㈜한화 지분을 세 아들이 증여받는 것 등에 활용될 것이란 내용이었다.

한화그룹은 그러나 “유상증자는 미래 사업과 관련된 것일 뿐, 승계와 무관하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김 회장이 증여를 빠르게 결심한 것”이라고 했다. 이번 증여로 김동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3월 평균 주가 기준으로 약 2218억원에 달한다. ㈜한화 주가는 최근 3년간 2만~3만원 안팎이었지만, 최근 크게 올라 31일 종가 기준 4만950원이었다. 그룹 관계자는 “주가가 높아 증여세를 더 내면서까지 오해를 풀려고 한 것”이라며 “빨리 논란을 해소하고 핵심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게 그룹 방침”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