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전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방준비제도가 긴급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AFP 연합뉴스

미국발 경기침체 우려가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긴급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긴급금리 인하를 단행할 경우 시장이 위급한 상황에 처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미국의 대표적인 ‘증시 강세론자’로 불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제러미 시겔 교수는 5일 미 경제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기준금리가 현재 3.5~4.0%에 있어야 한다”고 했다. 현재 금리는 연 5.25~5.5%다. 시겔 교수는 긴급금리 인하로 0.75%포인트 떨어뜨린 뒤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추가로 0.75%포인트를 더 내려야 한다고 했다. 그는 “연준이 뭔가를 안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면서 “시장이 연준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했다.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그런데 증시가 폭락하는 등 경제가 심각한 충격을 받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긴급회의를 통해 금리를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 긴급회의를 여는 것에 대한 외부에 알려진 구체적인 기준은 없다. 연준이 가장 최근 긴급금리 인하에 나선 것은 지난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때다. 당시 연준은 0.5%포인트 낮췄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사태 때 등에서도 긴급금리 인하를 사용한 적이 있다.

다만 긴급금리 인하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긴급금리 인하 단행과 관련한 질문에 “고용지표가 기대보다 약하게 나왔지만 아직 경기침체 상황 같지는 않아 보인다”라고 했다. SMBC 닛코 증권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셉 라보르그나는 뉴욕타임스(NYT)에 “긴급금리 인하는 패닉에 빠진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했다. 미 경제매체 블룸버그는 “연준의 긴급금리 인하는 실수가 될 수 있다”는 제목의 칼럼에서 “이번 주가 하락은 근본적으로 경제 충격 때문에 일어난 일이 아니고 AI 관련 주식 같은 기술주 등에 과도하게 뛰어든 투자자들로 인한 것”이라면서 “미국 경제가 망가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만 사용하는 수단을 쓸 필요가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