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경기 둔화로 명품 판매가 급감하면서 명품 브랜드들이 고전하고 있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중국 소비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지만,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으로 오히려 소비가 줄면서 중국 시장 의존도를 낮춰야 할 상황에까지 놓인 것이다.

31일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구찌·발렌시아가 등 브랜드를 소유한 프랑스 명품업체 케링SA는 올해 1~3월 아시아태평양 지역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약 2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이 영향으로 1분기 전체 매출도 1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몇 달 동안 공식 웹사이트와 이커머스 플랫폼을 포함, 중국 내 구찌의 온라인 판매가 크게 감소했다”고 했다. 이 소식을 발표한 직후 파리 증시에서 케링 주가가 사흘 연속 빠졌고, 시가 총액만 90억 달러(약 12조 1275억원)가 증발했다.

구찌 등을 보유한 케링사(社)의 올해 1~3월 아시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 꺾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홍콩에 있는 구찌 매장. /셔터스톡

중국 소비자는 그동안 ‘명품계 큰손’으로 통했다. 곳곳에서 고급 브랜드 제품을 싹쓸이해 여러 명품 업체들이 중국 시장 공략에 공을 들여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 내 실업률이 증가하고 부동산이 침체하면서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졌고, 이에 따라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명품 소비도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구찌의 경우 중국 시장 매출 비중이 전체의 약 35%가량인데, 이 매출이 줄어들자 회사 전체 매출도 휘청이게 된 것이다.

다른 명품들도 중국의 소비 둔화에 매출 감소 등 타격을 입고 있다. 스위스 시계 산업협회는 지난 2월 중국과 홍콩으로의 수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5%, 19% 줄었다고 발표했다. 스위스의 고가 시계는 중국의 소비 심리에 따라 매출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대표적 상품으로 꼽힌다. 블룸버그는 “중국과 홍콩 쇼핑객들이 스와치그룹 매장에 방문하고 있지만,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닉 하이에크 스와치그룹 CEO는 “중국 소비자들이 큰돈이 드는 소비를 주저하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 샤넬, 루이비통, 롤렉스 등 다른 브랜드들도 작년부터 중국에서 성장세가 둔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중국 시장에서 고급 사치재 수요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컨설팅기업 베인앤드컴퍼니는 작년 12%였던 중국 내 럭셔리 매출 증가율이 올해는 한자릿수대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