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커뮤니티로 시작한 중고나라, 판교 개발자들이 세운 당근마켓과 번개장터, 압구정동 명품 중고샵으로 출발한 ‘구구스’ 등 중고 전문 마켓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국내 중고 거래 시장은 지난해 24조원 규모를 넘어섰다. 막 상표 택을 떼어낸 청바지부터 아버지가 차던 명품 시계까지, 중고 거래 플랫폼에는 없는 게 없다.
특히 옷, 가방, 신발 같은 패션 아이템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전세계 중고 패션 시장 규모는 지난해 142조로 추정된다.
연간 2조5000억원의 중고 물품이 사고 팔리는 중고 플랫폼 ‘번개장터’의 경우, 지난해 패션 물품 거래액이 9768억원, 전체 거래액에 44%를 차지했다. 2019년 4692억원의 두배가 됐다. 거래 건수도 같은 기간 651만5000건에서 1011만3000건으로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해를 거듭할 수록 규모가 계속 커질 것이라고 전망한다.
번개장터가 27일 발표한 ‘미래 중고 패션 트랜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번개장터 플랫폼을 통한 거래 평균 단가는 10만7000원, 이용자의 78%가 MZ세대, X세대가 18%, 베이비붐세대가 4%였다.
🔸중고 명품도 MZ세대가 휩쓸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30년까지 (MZ세대와 그 이하의) 젊은 세대가 전 세계 고급 패션브랜드 매출의 80%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MZ세대의 명품 소비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MZ세대는 왜 이렇게 명품에 열광할까? 명품은 왜 이렇게 자주 사고 팔까.
답은 명품에 대한 인식 자체가 다르다는 데 있다. 이들에게 명품은 ‘대를 이어쓰는 좋은 물건’이 아니다. 명품은 뽐내면서 쓰다가 원할 때 팔면 다시 현금으로 만들 수 있는, 그것도 ‘감가상각’이 적은 합리적인 소비 아이템이다.
번개장터 중고 명품 거래 이용자의 76%가 MZ세대였는데, 이들 중 50% 이상이 ‘구입 1년 이내 명품’을 되팔았다. 다른 세대와 비교하면 사고 파는 양이 2배에 달한다. ‘명품은 대를 물려 자식에게 준다’는 이전 세대와는 입장이 다른 게 확연히 느껴지는 대목이다.
업계관계자들은 “200만원 짜리 중고 가방을 100만원에 사서, 관리만 잘하면 6개월 뒤에 똑같이 100만원에 팔 수 있다”고 한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김모(29)씨는 “저가 브랜드는 헐값이 아닌 이상 굳이 중고로 살 필요가 없지만 명품은 중고 시장에서 오히려 메리트가 있다”면서 “10만원짜리를 쓰다가 버리는 것보다 100만원 중고 명품을 사서 되파는 게 돈을 아끼는 방법”이라고 했다.
명품 선호도를 보면, 남자는 시계 오메가, 가방과 액세서리 루이비통이었고, 여자는 시계 까르띠에, 가방 루이비통, 액세서리 샤넬 등이었다.
🔸중고도 명분 있으면 더 뜬다?
업사이클링의 대표 브랜드 ✔프라이탁, 친환경으로 유명한 ✔파타고니아, ✔베자 같은 ‘명분 상품’의 거래도 늘었다. 세 브랜드의 거래량은 3년 전보다 101%, 거래금액도 205%가 증가했다. 번개장터 관계자는 “디자인과 품질보다 메시지가 있는 브랜드, 스토리가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젊은층의 비중이 확실히 늘어났다”고 말했다.
중고시장에서 유니클로, 자라 같은 SPA, 패스트패션보다는 ✔폴로, ✔타미힐피거 등 전통이 있는 ‘헤리티지 패션’이 더 인기라는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헤리티지 패션은 패스트패션 대비 거래 건수는 1.7배, 거래액은 3.1배 많았다. 가격이 합리적인 유니클로를 굳이 ‘중고’로 살 필요 없다는 점도 오프라인 인기에 비해 중고 거래 인기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보인다.
🔸남이 신던 운동화가 거래량 1위, 왜?
번개장터에서는 1년 동안 1000만 건 넘는 거래가 이뤄졌다. 사람들은 어떤 브랜드, 어떤 상품을 사고 팔았을까.
지난해 한해 번개장터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TOP5 중고 품목은 ✅스니커즈 ✅여성 가방 ✅여성 원피스 ✅남성 자켓 ✅남성 티셔츠 순이었다. 번개장터 김유림 매니저는 “스니커즈가 1위를 차지한 이유를 분석해보니 시중에서 구할 수 없는 한정판이 유독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정모(28)씨는 “인기 스니커즈의 단종 모델은 중고 말고는 구할 방법이 없다”며 “중고가가 판매가보다 1.5~2배 되는 모델도 많다”고 했다.
[돈그랑땡]은 ‘잘쓰기’, ‘잘모으기’, ‘잘굴리기’ 비법을 찾아갑니다. 호구성 소비, 짠내만 나는 절약, 무모한 투자는 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