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이 시장에 대한 매력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보유 종목은 5개 정도로 압축했고, 현금 비중은 크게 늘렸고, 남는 돈으론 단기채만 사고 있으니까요.”(홍춘욱 프리즘투자자문 대표)

“작년 약세장에서 버핏은 애플 주식을 더 사모았는데, 올해는 미국 국채를 사고 있습니다. 올해 미국 증시는 20%나 올랐으니 단기적으론 확정 수익을 주는 국채가 더 낫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대표)

지난 5일(현지 시각)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의 2분기(4~6월) 실적 발표 이후, 투자자들의 시선이 미국 단기채에 쏠리고 있다.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13조2256억원)을 올린 버크셔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에서 미국 단기채 비중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2분기 기준 버크셔해서웨이의 현금 실탄은 1470억달러(약 194조원)에 달해 지난 2021년(1490억달러)에 이어 둘째로 많았다. 버크셔해서웨이는 현금을 대부분 1년 미만 미국 단기채로 보유하고 있었다. 전체 현금의 81%인 1200억달러(약 158조원)가 미국 단기채였다.

박소연 신영증권 투자전략부장은 “현재 미국 장기채는 4% 수준이고 단기채는 5%가 넘는 상황인데, 시황관이 보수적인 버핏은 미국 단기채를 일종의 현금 파킹 통장이라고 여기고 매수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버핏은 주식보다 연 5%대 확정 수익을 주는 미국 단기채를 더 나은 투자처라고 여긴다는 얘기다.

박 부장은 이어 “미국 단기채는 달러로 매매하기 때문에 버핏을 따라 투자한다면 환율 변동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은 1300원 안팎인데 채권 매수 이후 환율이 떨어지게 되면 환손실을 입게 된다. 참고로 최근 10년 동안의 원·달러 평균 환율은 1100원 수준이었다.

발 빠른 자산가들은 미국 단기채를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올 초부터 지난달까지 만기 1년 미만의 미국 국채만 4100억원어치 판매했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미국 단기 금리가 고점에 이르렀다는 인식과 더불어 은행 외화예금 대비 금리가 높다는 이점이 부각되면서 자금이 많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국채는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모두 판매하고 있다. 달러가 없다면 환전해서 투자해야 하며, 만기는 2024년 이내인 상품을 골라야 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2025년에 금융투자소득세 제도가 시행되면, 현재 비과세되는 채권은 과세 상품으로 바뀐다”면서 “2025년부터 만기가 돌아오는 상품은 세금 때문에 예상 수익이 낮아질 수 있는 만큼, 2024년 만기 상품을 골라야 절세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