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 중 연령대별로 1위인 50대는 올해 기준 862만명이다. 전체의 17%를 차지한다. 요즘 50대의 최대 고민은 “지금부터 노후 대비를 시작해도 늦지 않을까”다. 하지만 ‘늦었다’고 체념할 필요는 없다. 전세계 부호인 워런 버핏은 50세일 때 재산이 지금의 0.2% 수준이었다. 그는 현재 부(富)의 99%를 50세 생일이 지난 후에야 모았다.

신동훈 메리츠증권 PB는 “은퇴 후 30년이 꽃길일지 아니면 지옥일지는 50대를 어떻게 사느냐에 달렸다”면서 “사랑하는 가족과 아쉬움 없는 노후를 보내기 위한 정도의 자산을 만든다면 50대에 시작해도 결코 늦지 않다”고 말했다. 신 PB는 삼성증권, SC제일은행 등 금융권에서 잔뼈가 굵은 30년 경력의 자산관리 베테랑이다.

그래픽=김성규

–어쩌다 보니 벌써 오십이다.

“인생 주기상 50대는 소득이 정점을 찍는 시기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50대의 평균 순자산이 5억3473만원으로 전 연령대 중에 가장 많다. 그런데 문제는 이 시기에 지출도 덩달아 늘어난다는 점이다. 온갖 집안 대소사에 자녀 교육비, 부모님 부양, 세금, 대출 상환 등으로 들어오는 돈보다 나가는 돈이 더 많아진다.”

–집 한 채 있으면 괜찮지 않나.

“우리나라 50대는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다. 그래서 갑자기 퇴직이라도 하게 되면 매달 먹고 살기 위한 돈을 걱정해야 할 처지가 된다. 모아 놓은 자산이 별로 없다고 느끼면서 불안해지는 시기를 잘 버텨야 한다. 늦게라도 돈을 모아야겠다고 결심한 건 좋지만, 그렇다고 그 마음이 지나치면 정신 건강에 해롭다.”

–50대의 돈 굴리기는 왜 다른가.

“50대엔 돈을 잃으면 타격이 크기 때문에 원금을 지키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챙겨야 한다. 주식은 10년 뒤에도 살아 있을 회사, 장사를 잘해 배당금도 꼬박꼬박 줄 회사에 투자해야 한다. 부동산 투자에선 장기간 돈이 묶이는 재건축·재개발은 피해야 한다. 땅도 마찬가지다. 시간이 오래 걸려 내가 죽고 난 뒤 자식 세대에서 승부가 날 수도 있다. 장사도 아무나 하는 게 아니다. 퇴직금 창업은 피해야 한다.”

–여유자금 굴리기는 어떻게?

“금융상품은 크게 깨지지 않으면서 정기적인 수익이 나오는 저위험·중수익 상품이 적당하다. 리츠(REITs) 같은 상품이 대표적이다. 리츠는 증시에 상장돼 거래되는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인데 주가가 올해 많이 빠졌다. 리츠는 통상 대출을 끼는데, 금리 상승으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져서 약속한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금리가 정점 근처라고 본다면, 주가 하락으로 배당 수익률이 높아진(시가 기준 연 9~10%) 지금이 적기일 수도 있다. 공모주 우선 배정과 절세 혜택이 있는 ‘공모주 하이일드 펀드’도 고려해 볼 만하다. 올해 세법 개정으로 수익에 대해 분리과세(15.4%)되는데, 세금과 건보료 측면에서 유리하다.”

▶️50대 재테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조선일보 머니 채널 ‘은퇴스쿨’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