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서울 영등포구 주택건설회관에서 열린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한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금감원 제공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전(全)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35조6000억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1조4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2.42%에서 2.7%로 0.28%포인트 올랐다. 2022년 말(1.19%)의 두 배로 치솟은 것이다. 다만 저축은행 사태가 터졌던 2012년(13.6%)보다는 낮다. 금감원은 “과거보다 연체율과 미분양이 크게 낮은 상황이고 금융사들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갖추고 있어 관리 가능한 상황”이라고 했다.

업권별 PF 연체율은 증권업권이 13.7%로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업권 PF 연체율은 1년 전보다 4.9%포인트 뛴 6.9%로 모든 업권 중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PF 대출 부실 여파로 총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9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금융 당국 권고에 따라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쌓은 영향이 컸다. 작년 충당금은 전년 대비 50.5%(1조3000억원) 증가한 3조8731억원에 달했다. 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조달 비용도 83.4% 늘어 지난해 이자 비용으로만 5조3508억원을 썼다.

작년 말 저축은행업권의 전체 연체율은 6.55%로 전년 대비 3.14%포인트 증가했다. 저축은행 사태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7.72%로 전년 대비 3.64%포인트 올랐다. 다만 부실 우려에 신속하게 대응한 덕분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35%로 전년 말(13.15%)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저축은행의 BIS 규제 비율은 규모에 따라 7~8%인데, 모든 저축은행이 규제 비율보다 3%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업권의 자기자본비율이 규제 비율을 크게 웃도는 등 손실 흡수 능력이 양호한 수준”이라며 “건전성 관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