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경기 부진과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부실 위험에 빠져 정상화가 어려운 부실 징후 ‘최하등급’ 기업들이 올해 17곳 급증했다.

23일 금융감독원의 ‘2024년 정기 신용 위험 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국내 부실징후기업은 230곳으로 직전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231곳)보다 1곳 줄었다. 하지만 부실징후기업 중 살아남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아 최하등급인 D 등급을 받은 기업은 130곳으로 지난해(113곳)보다 17곳(15%)이나 늘었다. 금감원은 “경기 회복 지연과 원가 상승, 고금리 장기화로 인해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난이 심화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등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2001년부터 매년 부실징후기업을 집계하고 있다. 영업 활동 현금 흐름,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을 금융 비용으로 나눈 것) 등을 은행권이 심사한 결과다. A~D 등급으로 나뉘는데, 부실 징후가 있어도 정상화 가능성이 있으면 C 등급, 정상화 가능성이 낮으면 D 등급을 준다. D 등급은 과거 법정 관리 대상 기업으로 불렸다.

업종은 부동산업이 30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동차(21곳), 고무·플라스틱(18곳), 기계·장비(18곳) 순이었다. 증가 폭을 보면 특히 부동산업(8곳)에서 부실징후기업이 늘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11곳, 중소기업이 219곳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워크아웃이나 법적 구조 조정을 통해 지원하고, 일시적 금융 애로를 겪는 기업들은 신속 금융 지원과 프리워크아웃 제도를 통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